우리나라의 노인성 치매 현황
의학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인구의 노령화는 인류가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여러 가지 건강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질환이 치매라 할 수 있는데, 노인 인구가 늘어나면서 치매의 발생 빈도가 증가로 인한 사회적 부담의 증가는 우리 나라 보건의료계의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 치매환자는 ’10년 47만명(노인인구의 8.8%)으로, 현재의 고령화 추세가 유지될 경우 ’30년에 1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됨
치매노인의 증가 추이 및 전망
구분/연도 | '08년 | '09년 | '10년 | '20년 | '30년 | '40년 | '50년 |
---|---|---|---|---|---|---|---|
65세 이상 인구 수 | 5,016 | 5,193 | 5,357 | 7,701 | 11,801 | 15,041 | 16,156 |
65세 이상 치매노인 수 | 421 | 445 | 469 | 750 | 1,135 | 1,685 | 2,127 |
치매 유병률(%) | 8.4 | 8.6 | 8.8 | 9.7 | 9.6 | 11.2 | 13.2 |
일산병원 치매예방센터의 특성
- 01
국내 최초, 최대 규모로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재활의학과 3개 진료과 전문의 6인이
치매라는 단일질병에 관해 체계적이고 유기적인 협동진료를 실시한다. - 02
치매의 예방뿐 아니라, 조기진단, 약물적/비약물적 치료, 인지기능증진, 운동재활 등을
체계적으로 시도함과 동시에 보건소 등과의 지역사회 연계확대를 통한
장기적인 치매환자 관리에 집중한다. - 03
일반인과 치매환자 및 보호자를 위한
치매예방센터 건강강좌를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 정신과
- 환자행동치료
- 우울증치료
- 보호자치료
- 신경과
- 혈관성 치매
- 파킨슨 치매
- 유전성 치매
- 정신과
- 치매재활
- 인지장애재활
- 통증치료
- 운동치료
운영방침
- 신경심리 검사
인간의 지적능력을 포함하여 인지 및 행동양상을 광범위하게 평가하는 과정입니다. 이 검사를 통해 실제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겪고 있는 인지 기능의 장애 정도를 파악하여 치매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뇌 손상 여부나 손상 정도를 밝히는데 도움이 되는 검사입니다. 인지장애나 치매의 진단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검사입니다.
- 소요시간
- 간단한 검사 : 30분
- 자세한 검사 : 2시간 30분 (반드시 보호자 동반)
- 소요시간
- 뇌영상 촬영
CT/ MRI(또는 MRA)/ PET-CT(양전자 단층촬영) : 치매의 감별진단을 위해 뇌 영상을 얻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 혈액 검사
- - 치매의 원인조사를 위해 필요한 검사입니다.
- - 종류 : 갑상선/간기능/콩팥기능/비타민부족증/성병검사/전해질검사/소변독성 검사
- 유전자 검사(혈액검사)
알츠하이머병이 환경과 유전적 배경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생한다는 연구보고가 있습니다.
※치매예방센터 예약 및 문의 : ☎ 1577-0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