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의료사업팀

직원명단

구분 성명
공공의료사업단장 오현철
공공의료사업팀장 양기현
공공의료사업파트장 박창규
의료사회사업파트장 김교상
공공의료사업파트 강철완, 김보미, 김성규, 전민정, 이미랑, 백미림
의료사회사업파트

주요 활동내역

가. 공공의료사업부문

1) 재활지원사업(CBR-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Program)

목적
  • 재활지원사업은 장애인에 대한 재활 의료서비스의 제공은 물론, 장애인과 그 가족 및 지역사회 주민 등을 대상으로 장애 관련 교육 실시, 지역사회와 연계한 사업추진으로 효과 극대화,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재활 서비스 추진 및 사회참여 증진을 도모
사업내용
  • 재활교육 :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장애인 및 가족, 주민 등
  • 재활치료 : 의료급여수급권자 및 차상위계층 중 1~2급 장애인 등
  • 인 력 : 재활의학과 의사 1명, 물리치료사 1명 등
사업실적

< 재활지원사업현황 >

재활지원 및 진료비지원 실적(단위 : 건, 원)
구분 재활지원 진료비 지원
외래 입원
재활교육 재활치료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2,399 1,267 1,132 2 92,950 2 92,950 - -

2) 대민지원사업

목적
  • 대민지원사업은 진료권 내 의료취약계층의 건강과 복지향상을 도모하고 지역사회 공공병원 역할수행, 대규모 재난, 재해 구호를 위한 국제적 노력에 적극 동참함과 동시에 국민건강보험 및 유관기관과 연계하는 의료봉사를 수행하여 지역사회 건강증진 연계발전에 기여
사업내용
  • 외국인 이주노동자, 다문화가족, 북한이탈주민, 농촌마을 등 의료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무료진료(의료봉사)서비스 제공
  • 지역 사회 자치단체 및 보건의료기관과 연계 사업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을 위한 건강안전망 구축사업 실시
    ※ 건강한 행복마을 사업(닥터헬프) 협약체결 : 일산동구보건소 … 2016.2.15.
    ※ 건강계단 만들기 사업 협약체결 : 고양시 … 2016.8.26.
    ※ 육군 제60사단 의료지원 사업 협약체결 : 육군 제60사단 … 2016.7.18
  • 해외의료봉사 실시 : 중앙아시아 '키르기스스탄' …10.31~11.5(4박4일)
사업실적

< 공공사업지원현황 >

의료지원 실적(단위 : 건, 명)
구 분 횟수 투입인원 (연인원) 진료환자 (연인원) 비 고
54 413 2,361
의료봉사(국내) 15 244 592 -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등
의료봉사(국외) 1 12 465 - 의료서비스 취약국가 등
의료봉사(1사1촌) 2 46 170 - 무의촌 지역주민 등
의료봉사(공단등연계사업) 36 111 1,134 - 공단, 보건소 등
진료비 지원 실적(단위 : 건, 원)
구 분 외래 입원 비고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82 3,141,380 78 1,852,780 4 1,288,600
북한이탈주민 3 88,020 3 88,020 - -
이주노동자 31 1,887,710 30 1,087,710 1 800,000
재활시설방문진료 43 995,370 41 513,250 2 482,120
닥터헬프 5 170,280 4 163,800 1 6,480

3) 지역사회 연계사업

목적
  • 지역사회보건의료 안전망 구축, 지역사회 건강증진 연계발전 사례연구 등 고양시, 국민건강보험공단 및 보건복지부 등의 업무협조 운영 관리를 위하여 전개됨
사업내용
  • 노인요양시설 방문진료 운영실시
    · 협약서 체결… 엘림복지원 등 4개 시설
    · 방문횟수 : 월 2회 이상 방문하여 입소자 개인별 진찰
    · 인 력 : 노인성질환 관련 전문의가 진료 실시 … 가정의학과 전문의 6명

< 노인요양시설 방문진료 현황 >

(단위 : 건, 명)
구분 횟수 투입연인원 진료연인원 비 고
96 192 715 협약체결 4개 시설
월평균 8 16 59

4) 자원봉사자 관리

목적
  • 지역사회에 본원의 이미지를 고양하고 서비스의 양적, 질적 확대와 자원봉사자의 자아실현을 도모
성인자원봉사자 관리
  • 자원봉사자 관리 및 운영, 간담회 개최, 교육 및 행사 지원, 소식지 발간
학생자원봉사자 관리
  • 정기 및 비정기 학생 자원봉사 관리 및 운영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관리
  • 호스피스 환자 케어(말벗, 발맛사지, 목욕 및 세발, 영적 지지 등)

< 자원봉사자 활동현황(성인, 학생 >

구분 성인 학생
인원 시간 인원 시간 인원 시간
3,027 36,539 2,567 31,970 460 4,569
월평균 252 3,045 214 2,664 230 2,285

※ 학생자원봉사활동의 경우 겨울 및 여름방학 기준으로 2개월 월평균함

< 자원봉사자 관리현황 >

구분 횟수 실적
자원봉사자 소식지 발간 4회 4,000부
자원봉사자 간담회 2회 40명
학생 자원봉사자 프로그램 운영 2회 220명
자원봉사자 행사(야유회, 송년회) 3회 297명
자원봉사자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1회 83명
자원봉사자 교육지원 7회 46명

5) 원내·외 건강강좌

목적
  • 지역주민 등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의료 정보 제공을 통해 공공병원 역할 수행
대상
  • 환자, 보호자 및 지역주민
실적
  • 원내 15회 1,027명(간암, 요통, 치매, 당뇨 등 만성질환 중심 교육 등)
  • 원외 79회 4,920명(성인만성질환, 성교육, 손씻기, 청소년직업특강 등)

6) 공공의료기관으로 역할 강화

지역사회 연계 건강안전망 구축 사업 실시
사업대상 연계기관 및 방법 사업내용 및 추진실적
건강계단 만들기사업 고양시와 업무협약
(2016.08.26.~ 2018.12.31)
- 일산동구 건강계단 사업비 16,000천원 지원
‧ 건강계단 설치 장소 : 백석역,마두역,중산동 주민센터,
고봉초등학교,하늘마을1단지, 산들마을 2단지
- 건강강좌 실시
‧ 1회(치매 및 파킨슨 병에 대한 이해)
Doctor Help사업 일산동구와 업무협약
(2016.03.01.~ 2016.12.31)
- 가정방문 의료지원(방문진료 : 10회,46명)
- 건강강좌 실시
‧ 3회(안전한약물관리,관절염,당뇨병과식이요법)
제60사단 의료지원 60사단과 업무협약
(2016.07.18.~ 2017.07.17)
- 정신건강 고위험군 상담 : 4회(월 1회)
- 자살건강교육 : 1회
‧ 알콜사용장애에 대한 이행 및 건강한 음주생활
찾아가는 이동보건소 고양시 5개 종합병원 및 보건소
공공의료 협의체 구성 (2016.01)
○ 일산서구 ‘찾아가는 이동보건소’ 공동실시 - 횟수 : 10회
일산병원(5회),일산백병원(2회),명지병원(2회),동국대일산병원(1회)
해외의료봉사 실시 고양시와 연계 ○ 의료취약국가 대상으로 해외의료봉사 실시
- 국가/기간 : 키르기스스탄공화국/10.31~11.5
- 활동 : 의료지원(465명) 및 의약품 등 기증
- 고양시 의료관광활성화 사업 해외의료봉사 보조사업자 선정
(15,000천원 지원 받음)
공공의료사업 업무 활성화를 위한 업무개선 실시
  • 자원봉사자 관리를 효율화하기 위한 운영지침 일부개정(‘16.10.13)
    · 부서명칭 신설 및 변경
    · 자원봉사자 모집연령 변경 및 정년신설
    … 모집연령 : 일반봉사자(65세이하), 호스봉사자(60세이하), 정년 : 80세
고양시 정신건강증진센터 수탁운영 실시
  • 운영기간 : 2015.1.1. ~ 2017.12.31.(3년)
  • 인력구성 : 센터장 1명(정신건강의학과 이병욱) 등 총 23명
  • 2016년 예산 : 1,319,759천원 … 정신건강증진센터 운영비 2%(18,727천원) 병원 수입
  • 주요사업 : 중증정신질환 관리사업, 생명사랑 자살예방사업, 정신건강증진 기획사업, 알코올중독관리 사업, 재난 심리지원 사업
  • 지원체계 : 지역사회 공공사업으로 공공의료사업팀을 전담부서로 하여 운영
국고지원사업 사업계획 검토 및 제출 등 행정업무 지원
  • 국고지원사업 : 완화의료전문기관 지원사업, 응급의료기관 지원발전프로그램 등 3개사업
  • 추진실적
    · 2016년도 완화의료전문기관 사업 전담인력 인건비 및 요법치료비 지원계획(안) 보고(1.8)
    · 완화의료전문기관 지원사업 2015년 결과보고서 및 2016년 사업계획서 제출(1.14)
    · 2015년도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사업 최종보고서 및 정산보고서 제출(2.3)
    · 2015년도 응급의료기관 지원사업 정산보고서 및 사업결과보고서 제출(2.24)
    · 2016년도 응급의료기관 지원발전프로그램 국고보조금 신청서 제출(6.30)
    · 2016년도 응급의료기관 지원사업 경기도지방보조금 교부신청서 제출(8.23)
    · 2016년도 하반기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사업 교부신청서 제출(8.4)
    · 2016년도 완화의료전문기관 지원사업 국고보조금 수정사업계획서 제출(11.10)
    · 2017년도 민간의료기관 결핵관리사업 사업계획서 제출(12.21)
    · 2016년도 국고지원사업비 관리전환 내역 검토 및 보고(12.29) 등
공공보건의료 계획수립 및 시행결과의 평가업무 수행
  • 2015년도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 제출(4.19)
  • 2016년도 공공보건의료계획 제출(6.17)
  • 공공보건의료계획 대비 실적 정기점검 실시
    · 2015년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 평가보고서 사전 검토회 개최(4.7)
    · 2016년 공공보건의료계획 보고회 개최(6.10)
    · 2016년 공공보건의료계획 공공사업운영위원회 보고(6.15)
외부 기관으로부터 우수기관 선정 평가
  • 2015년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
    · 주관 : 보건복지부 공공의료과
    · 평가결과 : 82.8점(전년대비 1.8점 상승) … 우수
  • 2016년 대한민국 세종대왕 나눔봉사 대상 수상
    · 주관 : 한국국제연합봉사단
    · 수상내역 : 3개 전 부문 수상(나눔봉사대상, 보건복지위원장, 아름다운 대한민국상)

나. 의료사회사업부문

1) 임상업무

목적
  • 질병의 원인이 되거나 회복을 방해하는 심리적, 정서적, 사회적 어려움을 해결
개별상담
  • 협진의뢰 되는 환자 및 가족에 대한 개별상담. 심리사회적 문제, 퇴원계획 및 사회복귀, 경제적 문제, 지역사회 자원연결 문제, 재활상담, 장기이식 상담 시행
집단상담
  •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 및 낮병동 집단프로그램(사회기술 훈련, 인지 행동치료, 집단치료, 병실회의, 정신심리극, 가족교육, 웰니스프로그램, 치료계획나누기), 당뇨교육
Case Conference
  • 정신건강의학과, 가정의학과, 재활의학과
< 임상사회사업 업무 현황(개인, 집단) >
개별상담
신규 계속 문제별 분류 (명)
심리사회적 상담 퇴원계획 및 사회복귀 경제적 문제 지역사회 자원연결 재활상담 이식상담
1,911 7,491 3,893 285 5,363 223 3 34
9,402

※ 문제별 분류의 경우 상담내용에 따라 중복 체크됨.

개별상담
구분 참여 인원 (명)
프로그램명 환자 가족 총인원
516 3,091 51 3,142
보호 병동 정신심리극 42 250 - 250
가족교육 19 1 43 44
병실회의 49 332 - 332
사회기술훈련 84 175 - 175
알코올 사회기술훈련 8 13 - 13
알코올 인지행동치료 82 143 - 143
알코올 집단치료 2 6 - 6
치료계획 나누기 36 302 - 302
소계 322 1,222 43 1,265
낮병동 사회기술훈련 137 1,345 - 1,345
정신심리극 14 115 - 115
웰니스프로그램 38 397 - 397
소계 189 1,857 0 1,857
당뇨센터 당뇨교육 5 12 8 20
소계 5 12 8 20

2) 후원금 관리

목적
  •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치료받지 못하는 환자들을 위하여 원내·외 후원금을 동원하여 치료 효과 도모
사회사업후원금 모금 사업
  • 원내 직원들에 대한 후원금 공제
  • 바자회 행사 개최(이웃사랑 바자회, 도서 바자회)
  • 개인 기탁금
사회사업후원금 지원 사업
  • 환자 치료비 지원
  • 지역사회 기관 지원
외부 후원기관 연계
  • 국민건강보험공단, 보건복지부 긴급의료비,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한국심장재단, 한국실명예방재단, 아름다운재단, 보건소암환자 치료비 지원, 경기무한돌봄서비스, 생명나눔실천본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서울시 사회복지협의회, 교보생명, 푸르메재단
과월호 잡지 기증
  • 국민건강보험공단, 앙쥬, 좋은생각, 고양소식, NYLON, 에쎈, 리빙센스, ARENA, 우먼센스, Best baby, 그라찌아, 인권

3) 수련생 관리

목적
  • 정신보건 및 일반의료 사회복지사 수련과정을 통해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교육적인 가치를 부여하여 전문 인력을 배출
수련인원 : 2명
  •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명
  • 일반의료사회복지사 1명(신규) 확대 운영

교육내역

가. 학회 및 세미나 참가

학회 및 세미나 참가
학회명 참가자 기간 개최지
2016년 공공보건의료 전문인력 교육 양기현, 박창규 2016.04.22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 심포지엄 양기현, 박창규 2016.04.29 분당서울대병원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 추계 보수교육 김교상, 이재윤 2016.10.21 세종대학교
공공보건의료 수행인력 실무교육 박창규, 강철완 2016.11.02 킹스타운호텔
서울어린이병원 공공의료 혁신 심포지엄 양기현, 박창규 2016.11.11 서울어린이병원
2016년 경기도 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 제5차 보수교육 김교상, 이재윤 2016.12.01 한국장애인인식개선센터
서울의료원 공공의료심포지엄 양기현, 박창규 2016.12.06 서울의료원
제3회 공공의료포럼 양기현, 박창규 2016.12.15 엘타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