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기록팀

직원명단

구분 성명
팀장 신동교
파트장 류상희
팀원 송현정, 황진희, 남지선, 김란희, 김현진, 이가영, 조경민, 정인경, 진정희, 이슬기, 송수연, 윤효중

주요 활동내역

가. 주요활동

1) 의무기록 완결도 향상

추진 방향
  • 의무기록 충실도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과 적극적 환류를 통한 적정수준 완결률 유지
  • 진료부문 임상질지표 모니터링 통해 의무기록 완결도 향상 도모
  • 공인인증서 적시 발급을 통한 의무기록 완결도 향상 도모
추진 실적

(1) 퇴원의무기록 충실도 모니터링 및 개선 활동

  • 진료기록 필수항목 기재율 향상 활동으로 대외평가 능동적 대응
    ※ 병원신임평가(7월), 신포괄지불제도 정보관리평가(10월) …의무기록 완결도 평가
  • 부서 중점평가 지표 관리시행으로 의무기록 충실도 향상
    완결률: 99.3%로 전년수준 유지, 9월 이후 실적 100% 달성

(2) 진료영역 질지표 모니터링 및 관리

  • 2016년 진료영역 관리지표 3개 선정 및 지표모니터링 실시
  • 외래 초진기록 충실도… 2017년 임상질지표사례발표회 우수상 수상
  • 퇴원전 수술기록 작성률
  • 협의진료 적시 회신률

(3) 공인인증서 적시 발급관리

  • 공인인증서 발급 대행 업무 시행 … 전자서명 적용으로 전자의무기록의 적법성 확보
  • 발급대상자: 전자의무기록 작성자·처방허용자 (의사,간호사,의료기사)
  • 적시 발급 시행 - 연간 1,253건 발행 (전년도 1,366건)
  • 휴무일 교대 전공의를 위한 선발급 시행하여 업무편의 제공
  • 포괄간호 시범사업관련 신규간호사에게 신속 발급
  • 공인인증비 정산 추진
  • 전년하반기 발급분 587명(2월)/ 금년상반기 발급분 929명(8월)
성과 및 기대 효과
  • 지표모니터링을 통한 지속적인 의무기록 충실도 및 완결도 향상
  • 의무기록 완결도를 지표로 하는 각종 대외평가에서 우수한 수검을 통해 대외 경쟁력 확보
  • 철저한 사전대비 및 적극적인 실사현장 지원으로 성공적인 수검으로 분석

2) 진단코딩자료 적시성 및 질 향상을 통한 진료 정보 부가가치 창출

추진 방향
  • 진단코딩 질향상을 통한 삭감 감축 및 체계적인 신포괄 모니터링 관리를 통한 지식 관리 실현
  • 코딩담당자의 역량강화로 진단코딩 정확도 향상과 발전가능성 제고
  • 진단코딩 적시성 향상을 통한 청구 및 중증도 분류 활용도 제고
추진 실적

(1) 진단코딩 정확도 향상 활동

  • 표적 진단 삭감 감축 활동 …심평원이 정한 집중 모니터 대상으로 까다로운 기준 적용
  • 진단근거 기재 누락 방지를 통한 진단기록 개연성 향상 활동
  • 패혈증 : 심평원 SIRS기준 부합하는 표준서식 개발 및 전공의 교육
    (‘16년 삭감률 감축: 24.4% → 8.7%)
  • 폐렴 : 의사진단 대비 방사선판독 불일치 감소를 위한 퇴원전 판독강화 활동
    (‘16년 삭감률 0% 달성)
  • 진단근거 기재 누락 방지를 통한 진단기록 개연성 향상 활동
  • 진단코딩 컨퍼런스 (16회 시행)
  • ‘16 개정 지침서 리뷰, 모니터 결과 분석 및 대응 방안 모색

(2) 신포괄 모니터링 관리 강화

  • 신포괄 모니터링 전 과정 DB 구축

  • 복잡한 모니터링 처리 일련의 과정에 대한 업무 효율 증대
  • 진단 코딩으로 인한 삭감 이력 및 결과 관리로 관련 지식 축적
  • 모니터링 단계 질향상을 통한 조정통보 감축 및 이의신청 성공률 제고
시점 개선전 개선후
1차 : 모니터링 【정량적 점검】 일반적 미비 완결도 점검 → 기록 송부 【정질적 점검】 진단명별 개연성, 진단 인정을 위한
필수 기록 점검 → 필수 송부 기록 표시(의무기록팀)
→ 완결도 높은 모니터 자료 송부(심사팀)
2차 : 조정통보 【정질적 점검】 진단명별 개연성, 진단 인정을 위한
필수 기록 점검 → 기록 송부
【조정통보 감축 및 이의신청 성공률 제고】
진단별 필수 기재항목 누락 감축 → 진단 인정의 개연성 입증 용이

(3) 진단코딩 대상 확대 및 적시성 향상

  • 모든 입원 청구 대상 입원환자 진단코딩을 청구 전 실시→청구활용
  • 청구 진단 코딩 자료 질 제고 및 진단 코딩자료 청구 활용도 제고
구분 마감 시점[단축]
개선전 개선 후
진단코딩대상[확대] 신포괄 퇴원당일(청구 사용) 퇴원당일(청구 사용)
행위별 일반병동 월말(청구 미사용) 퇴원후 10일(청구 사용)
행위별 낮병동 미시행 월말(청구 사용)
  • 원내 중증도 지표관리(원내 분류 자료와 심평원 분류자료 일치도 향상)
성과 및 기대 효과
  • 모니터링 DB 구축을 통해 모니터 및 삭감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표적진단 대상의 삭감 감축활동 등 우선순위를 설정 등을 통해 청구진단코딩 질향상으로 병원 이미지 제고
  • 지속적인 교육으로 지속 발전 역량 제고 및 진단코딩 적시성 향상을 통해 진단코딩 자료 활용도 제고
  • 의무기록 및 청구진단 일치로 원내 및 원외 중증도 분류결과 일치도 향상

3) 대외평가 우수한 수검을 통한 대외경쟁력 확보 및 지속 발전 기반 구축

추진 방향
  • 「신포괄지불제도 정보화관리 평가」성공적 수검을 통해 인센티브 확보 (포괄진료비의 5%)
  • 응급의료기관 평가의 우수한 수검을 위한 근본적인 시스템 및 운영 개선 주도
  • 상급종합병원 기준 환자 중증도 현황 자료분석으로 상급병원진입 전략수립에 기여
추진 실적

(1) 신포괄지불 제도 정보관리 평가(의무기록 부문)

  • ‘15 평가 수검결과 관련 적극적 환류 및 ‘16 평가 대비
  • ‘15 수검결과 분석 및 평가개선 제안(2.18)→’16평가에 100% 반영
  • 평가기준의 불합리성, 문제점 및 개선 방안 도출
  • 코딩의 정확성 영역(분모-무작위성 비보장, 분자-이의신청 미포함)
  • ‘16 평가 수검(10.28)
  • 철저한 사전대비 및 적극적인 실사현장 지원으로 성공적인 수검
  • 퇴원요약 및 입원진료기록 필수항목 기재율 사전 관리
  • 코딩정확도 평가기준 사전 관리
  • ‘진단코딩위원회’ 신설 및 운영기준 충족
  • 퇴원환자의 진단별 POA일치율 사전관리
  • 수검결과 분석 및 평가개선 제안: 의무기록팀-223(2017.01.20)

(2) 환자 중증도 분석 시스템 구축 … 의료질평가/ 종합전문요양기관 심사 기준

  • 재원환자 중증도 분류 및 정보제공으로 의료진 이해도 제고
  • 중증도 관련 진료과별 상세 정보 제공 및 환류

※ 진료과의 높은 관심/질의→과별 상세 자료 제공→의료진 이해도 제고

구분 구축결과예시
Dash-board

미분류: 당일입원, 분류불가 사례(PreMDC, 진단·수술 불일치 등)
재원환자 목록
환자별 처방화면
  • 퇴원환자 전수 중증도 일괄분류로 정확한 지표산출 및 평가 대비
  • 신포괄 이외 사례까지 DRG 및 중증도 분류→분류 사각지대 제거
  • 분류정확도 제고, 심평원 자료와 일관성 제고 →정확한 지표산출로 실제평가 대비
  • 개원이후 모든 입원건 분류(2000~현재)→과거자료 비교가능성 제고
  • 월별 퇴원환자 중증도 원터치 분류→분석효율 증대

(3) 응급의료기관 인증 평가 수검 및 업무체계 재정립

  • NEDIS전담자 운영부서 이관 및 평가 수검 ※ 7월 이관
  • 프로그램 미비사항 분석 및 보완
  • NEDIS전담자 역량 고도화 … 의무기록팀 경력자 배치
    ※ NEDIS(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 2016년도 응급의료기관 현지평가 수검(8.29)
  • 우수 문항: 응급코디네이터 인터뷰: 10/10점(상)
  • 감점문항(퇴실진단, 퇴원진단, 입원일시 불일치)…‘17평가대비 시스템 개선
  • 주요 평가지표 최초 자체생산 및 결과공유로 적극적인 업무개선 주도
  • 2017년도 평가대비 주요 평가지표 생산을 위한 기반마련
  • 효율적 자료분석을 위한 쿼리 자체 작성 및 데이터 검증
  • 2017년도 평가대비 업무개선 주도
  • 2017년 응급의료기관 평가 설명회 참석(전담자, 파트장)
  • 문제문항 집중 분석을 통해 시스템 및 운영의 근본적 개선 주도
  • 자료생성 알고리즘 변경(퇴실진단생성,병동입원일시,전문의직접진료)
  • 간호기록 작성 교육 …※전원기록: 동승의료인, 전문의 설명기록 등
  • 협진시스템 개선관련 다학제적 협의 및 추진…‘17.2.20프로그램 반영

(4) 병원신임평가 지원

  • 의무기록 완결도 문항 책임
  • 의무기록 미비사항 사전점검 및 재원중 미비기록 관리 강화
  • 수검에 필요한 각 부서별 진료실적 통계자료 작성 및 제공
  • 공통사항 및 전 진료과에서 요청하는 상세 진료실적 집중 지원
  • 현지평가시 의무기록 열람지원(6.28, 7.5)
성과 및 기대 효과
  • 철저한 사전대비 및 적극적인 실사현장 지원을 통해 성공적인 「신포괄지불제도 정보관리 평가」를 이끌었고 그 결과 병원수입증대에 기여
  • 개원이후 최초로 사각지대 없이 중증도 자체 분석 체계 구축으로 신속 정확한 중증도 분석 기반 마련
  • 재원환자 중증도 정보제공 및 진료과별 적극적 환류 등 의료진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냄으로써 의료진의 중증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고, 그 결과 의료질평가 및 상급종합병원 인정 심사 등에 대한 대응방안 모색에 기여

4) 제증명 발급서비스 개선을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추진 방향
  • 지속적 업무개선과 주요지표의 안정적 관리를 통한 서비스 질 향상 및 고객만족도 향상
  • 주기적 직원 교육을 통해 질 높은 고객응대 서비스 유지
  • 국제공인예방접종증명서(황열) 발급업무 안정화
추진 실적

(1) 발급업무 정확도 향상 활동

  • 해외학회에서 우수활동사례 채택→포스터발표
  • 국제질향상학회(ISQua), 도쿄(’16.10.)
    “The Activities for Improving Accuracy on issuing certificates”

(2) 대기시간 감축 활동

  • 지속적인 지표관리로 제증명 발급 서비스 수준 향상
  • 창구대기시간 20분초과 비율 단축… 목표달성(5.0%): 4.2%
  • 대기시간 측정을 위한 전산프로그램 개발하여 업무효율 향상

(3) 업무절차 간소화 추진

  • 제증명발급대장 연동결재 시행으로 관리비용절감 및 업무효율 증대
  • 출력·수기결재·편철보관 → 전자결재 …문서보관수반 시간·비용 절약

(4) 국제공인예방접종증명서 (황열) 발급업무 안정화

  • 국제공인예방접종증명서 발급관련 법령 준수 및 안정화 추진 (‘15.9.1~)
  • 국제보건규칙개정에 따라 신속한 대응…증명서에 황열유효기간 표기변경(7.1)
  • 국립인천검역소 주관 검역업무지침 이행…분기별 정기 지도점검
  • 발급대장 및 관련서류 국립인천검역소 발송…매월
  • 안정적 운영 : 발급건수 점차 증대 추세
성과 및 기대 효과
  • 제증명 발급서비스 관리지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질높은 서비스 수준 유지
  • 국제공인 예방접종지정기관 지정(질병관리본부 주관)에 기여함으로써 병원 이미지 제고

5) 의무기록의 이용 및 보존 효율 증대

추진 방향
  • 사용자 친화적 진료서식관리를 통한 EMR 사용자 만족도 제고
  • 의무기록 접근권한 관리를 통한 개인정보보호 강화
  • 적법성과 안전성이 보장된 합리적인 의무기록 보존 관리
추진 실적

(1) 처방 및 EMR 불편사항 조사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 제고

  • 처방 및 EMR 시스템 불편사항 조사 실시
  • 2015년도 조사내역에 대한 개선활동 추진: 32/34건 개선
  • 의료정보 소위원회†구성하여 신속 정확한 의사결정 및 효율적 추진
  • 불필요한 팝업 정리 등 EMR을 사용자 입장에서 재해석하여 개선함
  • 2016년도 불편사항 설문조사 실시 ※연1회 정례화된 EMR 개선활동으로 자리매김
  • 사용자 의견조사(설문조사): 12.1~12.31 ※ 의무기록팀 통합조사
  • 실무관련부서 검토(’17.01.): 20건 접수(조치완료 6건)…진단 0건, EMR 8건, 처방 12건
  • 의료정보 소위원회(의료정보 및 의무기록 위원회 내) 협의 후 반영
  • EMR 형광펜 사용자 불편사항 개선 시행(9.1시행)
  • 형광펜 적용방식 변경: 메뉴바 방식(MS워드) 의료정보소위원회 논의→시범적용→테스트→반영
  • [처방화면] 과거진단 입력편의 기능 개발반영
  • 환자별 과거 진단을 쉽게 조회, 선별 및 입력 가능하도록 변경

(2) 전자동의서 안정적 운영

  • 전자동의서 사용 확대를 위한 단말기 추가 배포(1월)
  • 40대(고정형25대, 이동형15대) …총126대 사용(고정형40대, 이동형86대)
  • 전자동의서 사용 확대(6.5% 증가 (16,842건)) … 258,514건→275,356건
  • 피크타임 병목현상 해소… 입퇴원집중시간 대 단말기 부족현상 해소
  • 동의서 통합조회 화면 개발로 사용자 편의 증대
  • 전자동의서 및 종이동의서를 포괄한 통합뷰어 개발 반영
  • 종이동의서와 병행운영으로 인한 동의서 준비단계의 혼란을 해소

(3) 의무기록 접근권한 적정성 관리

  • 정기적인 의무기록열람모니터링 실시 및 접근권한의 적정성 평가
  • 의무기록 열람모니터링 실시(분기별, 4회)
  • 의무기록 접근권한 지침 개정안 논의
  • 정신건강의학과 특정서식에 대한 열람제한 구체화(제6조)
  •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진료이후 접근가능
  • 협진의사 등 참여자 : 진료기간 중에만 접근
  • ※ 의료정보 및 의무기록 위원회 심의(5.10)

(4) 의무기록 부문 개인정보 보호활동

  • 의무기록 정정 요청 방법 현실화를 위해 규정 개정 및 정보 보완 추진
    ※ 의료정보 및 의무기록 위원회(2016.6) 심의
    ※ 의무기록관리요령 개정안 반영 (2017.2 시행)
  • 환자/보호자의 요청에 의한 수정 이력 관리 정보개발…※법적 문제 등 대비
  • ‘개인정보관리’관련 공단기획감사(11.18) : 의무기록 부문 성공적 수검
  • 대상기간: 2015.1 ~ 2016.9 … ※ 자료 사전 제출(11.4)
  • 검토 대상: 랜덤조사 및 구비서류 사전점검 시행
    개인정보 제3자 제공: 3건
    의무기록사본발급대장(본인외 제공): 11,780건
  • 의료법 개정안 의견 조회 제공…※대한병원협회(권미혁의원, 5001)
  • 개정안 요지: 진료기록부 등을 수정하는 경우 원본과 수정본을 함께 보존
  • 취지: 고의로 사실과 다른 추가기재 또는 수정하는 것을 금지
  • 본원 EMR 관리: 개정안에 적법…※전자서명시마다 수정 로그 남김
성과 및 기대 효과
  • 처방 및 EMR 불편사항 조사를 통해 EMR 사용자 만족도 향상 및 진료정보의 질향상
  • 전자동의서 단말기 확대 및 프로그램 개선 등 전자동의서 운영 확대로 사용자 편의 및 업무효율 증대
  • 정기적인 의무기록 열람이력 모니터링으로 의무기록 접근권한의 적정성 유지를 통한 진료정보의 보안 강화
  • 관계법령 및 기준 검토로 의무기록부문 개인정보강화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

6) 의무기록관리 자문위원회 운영으로 직무기능의 질적 향상 도모

추진 방향
  • 의료정보 및 의무기록 위원회 연4회 이상 실시
  • 진단코딩 위원회 연2회 이상 실시
추진 실적

(1) 의료정보 및 의무기록 위원회 운영

  • 의료정보 및 의무기록 위원회 5회 실시 (연간 목표 달성, 4회이상)
  • 위원(18인): 조경희 위원장, 주요 진료과 전문의, 병동간호팀, 의무기록팀, 의료정보팀, 적정진료지원팀, 보험심사팀
  • 정보개발안 심의(70건): 처방·EMR 시스템 불편사항 개선안 등
  • 규정 심의(2건): 의무기록관리요령 일부개정안, 의무기록접근권한 관리지침 개정안
  • 의료정보 소위원회 신규운영으로 심의 효율 제고(3월)
  • 목적: 처방 및 EMR시스템의 정보개발 요구안의 심의 효율
  • 의료정보 및 의무기록 위원회 산하로 10인의 위원으로 재구성
    ※ EMR 개선에 관심이 있고 활발하게 활동하는 소수의 의료진으로 구성
  • 위원(10인): 이준홍 소위원장, 주요진료과 전문의, 의무기록팀, 의료정보팀

(2) 진단코딩 위원회 2회 실시 (연간 목표 달성, 2회이상)

  • 위원(20인): 이준홍 위원장, 주요 진료과 전문의, 의무기록팀, 보험심사팀
  • 심평원의 반복적 모니터링 사례 대처 방안
    ※ 패혈증, 폐렴 질병군 관리 방안 논의
  • 진료과별 질병군 구성 개선 전략 수립
    ※ 의료질향상 지원금, 상급종합병원 지정평가에 영향
성과 및 기대 효과
  • 의료정보 및 의무기록 관리에 관한 자문위원회를 정기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의무기록운영 부문 직무기능의 질적 향상에 기여
  • 포괄진료비 청구진단의 운영 및 관리에 필요한 제반사항에 대한 자문위원회를 정기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청구진단의 코딩 정확도 향상에 기여

교육내역

가. 학회 및 세미나 참가

학회명 참가자 기간 개최지
2016년도 암등록 의무기록사 기본과정 황진희 2016.03.25 서울특별시
대한의무기록협회 2016년 경기도회 춘계보수교육 황진희 2016.03.26 경기도
대한의무기록협회 제76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 신동교,남지선,김란희 2016.04.01 서울특별시
의료질평가 설명회 신동교 2016.04.05 서울특별시
2016년 암등록 의무기록사 중급과정 황진희 2016.04.07 서울특별시
병원신임평가회 설명회 류상희 2016.04.12 서울특별시
2016년 상반기 신포괄기관 교육과정 황진희 2016.06.08 서울특별시
신포괄정보관리 평가설명회 신동교 2016.08.29 서울특별시
2017년 응급의료기관평가 설명회 류상희, 남지선 2016.09.06 서울특별시
2016년 응급의료관리전문과정 교육 남지선 2016.10.06 서울특별시
국제질향상학회(ISQua) 류상희 2016.10.15~10.20 일본,도쿄
대한의무기록협회 제77차 추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 류상희, 김현진, 황진희 2016.10.21~10.22 전라남도
2017년 병원 표준화 사망비 등 설명회 황진희 2016.10.27 서울특별시
2016년 암등록 의무기록사 상급교육 황진희 2016.10.28 서울특별시
제9회 병원 의료정보화 발전포럼 류상희, 황진희 2016.11.03 경기도
The 7th Korea Healthcare Congress 2016 신동교, 송현정 2016.11.18 서울특별시
대한의무기록협회 2016년 경기도회 추계보수교육 신동교, 류상희, 송현정,
남지선, 김현진, 김란희,
이가영, 조경민, 이슬기
2016.11.19 경기도
2016년 하반기 의무기록관리자 및 교수워크샵 신동교 2016.12.16 서울특별시
신포괄수가 관련 연구보고회 및 수가설명회 류상희 2016.12.16 서울특별시

연구실적

가. 강의활동

주제 발표일 발표자 대상 장소
국제의료행위분류체계 개발 동향 2016.04.01 신동교 대한의무기록협회 춘계 학술대회 코엑스
국제의료행위분류체계 개발 동향 2016.01.26 신동교 통계청 분건분류 자문위원 웍샵 리츠칼튼호텔

암등록 현황

  • 암등록 전체 건수는 1,747건으로 전년도대비 139건(8.6%) 증가
  • 진료과별 암등록 현황에서는 외과가 415건(23.8%)로 가장 많은 비율이며, 소화기내과 16.7%, 가정의학과 16.4%순 임
(단위 : 건,%)
진료과 01월 02월 03월 04월 05월 06월 07월 08월 09월 10월 11월 12월 2016년 구성비 2015년 증감율
가정의학과 20 28 27 25 20 20 24 20 24 22 31 25 286 16.4 302 -5.3
감염내과 1 1 1   1   1     1 1   7 0.4 3 133.3
구강악안면외과             1 1         2 0.1 3 -33.3
내분비내과         3   1 2 1       7 0.4 4 75.0
류마티스내과     1                   1 0.1 - -
비뇨기과 9 22 14 15 13 12 7 19 8 9 14 17 159 9.1 124 28.2
산부인과 3 5 6 9 3 3 5 4 6 4 9 7 64 3.7 75 -14.7
성형외과 4   1 1   3 2     3 2 1 17 1.0 17 0.0
소아청소년과           1             1 0.1 1 0.0
소화기내과 23 33 26 38 26 23 24 21 21 19 21 16 291 16.7 285 2.1
신경과               1         1 0.1 9 -88.9
신경외과 2 2 3 5   1 1 5 3 3 3 1 29 1.7 29 0.0
신장내과 1 1 2 1 2 1 2 5 3 2 1   21 1.2 20 5.0
심장내과   1 6 1 1   2   1 1     13 0.7 2 550.0
안과                         -  0.0 1 -100.0
외과 35 30 40 40 38 38 38 27 26 34 27 42 415 23.8 357 16.2
응급의학과 1               1       2 0.1 - - 
이비인후과 3 1 5 4 4 4 3 1 1 3 6   35 2.0 37 -5.4
재활의학과     3 1 2     1   3 1 2 13 0.7 6 116.7
정신건강의학과                           0.0 2 -100.0
정형외과   1         1         1 3 0.2 1 200.0
종양혈액내과 23 19 22 27 19 15 18 12 21 12 19 13 220 12.6 164 34.1
핵의학과 1 1     1               3 0.2 13 -76.9
호흡기내과 15 14 6 10 8 16 8 7 15 9 9 15 132 7.6 128 3.1
흉부외과 2   1 2 2 4 2 3 2 2   5 25 1.4 25 0.0
총합계 143 159 164 179 143 141 140 129 133 127 144 145 1,747 100.0 1,608 8.6

의무기록 사본발행 현황

  • 의무기록사본발급 전체 건수는 전년도 대비 921건(3.4%) 증가, 매수는 34,722매(-8.7%) 감소
  • 신청자별로는 본인신청으로 인한 발급이 20,252건(전체의 72.5%)으로 가장 많고, 용도별로는 보험회사제출용이 13,101건(전체의 46.9%)으로 가장 많음
  • 특히, 원내직원의 요청으로 인한 발급이 전년도대비 146건(-26.9%) 감소
(단위 : 건,%)
구분 2016년도 2015년도 증감률(%)
건수 매수 건수 매수 건수 매수
신청자 본인 20,252 196,824 19,218 211,580 5.4 -7.0
배우자 538 14,205 500 15,500 7.6 -8.4
부모 2,602 26,722 2,610 28,524 -0.3 -6.3
자녀 805 22,873 777 29,060 3.6 -21.3
제3자 351 18,235 364 10,031 -3.6 81.8
보험회사 2,335 74,665 2,239 73,003 4.3 2.3
공무관계자 494 494 620 620 -20.3 -20.3
원내직원 396 1,970 542 23,121 -26.9 -91.5
기관 및 시설직원 142 7,356 124 6,627 14.5 11.0
용도 타병원진료 6,727 83,183 5,904 79,545 13.9 4.6
관계기관제출용 3,721 79,747 3,499 97,780 6.3 -18.4
병사용 699 11,356 637 11,276 9.7 0.7
개인보관용 1,759 10,561 1,473 8,150 19.4 29.6
기타 528 5,274 544 6,794 -2.9 -22.4
보험회사제출용 13,101 148,266 13,329 159,383 -1.7 -7.0
직장제출용 197 1,105 206 1,465 -4.4 -24.6
수사상목적 21 609 11 195 90.9 212.3
법원제출용 189 20,421 155 9,459 21.9 115.9
학교제출용 83 358 74 278 12.2 28.8
공무관계자 494 494 620 620 -20.3 -20.3
원내직원 396 1,970 542 23,121 -26.9 -91.5
합계 27,915 363,344 26,994 398,066 3.4 -8.7

제증명 발급현황

  • 의무기록사본발급 전체 건수는 전년도 대비 921건(3.4%) 증가, 매수는 34,722매(-8.7%) 감소
  • 신청자별로는 본인신청으로 인한 발급이 20,252건(전체의 72.5%)으로 가장 많고, 용도별로는 보험회사제출용이 13,101건(전체의 46.9%)으로 가장 많음
  • 특히, 원내직원의 요청으로 인한 발급이 전년도대비 146건(-26.9%) 감소
  • 전체 제증명 서식 중 진단서가 45,216건(전체의 47.4%)으로 가장 많이 발급
(단위 : 건,%)
제증명 종류 2016년도 2015년도 증감률(%)
외래 입원 응급 기타 외래 입원 응급 기타
진단서 45,216 34,177 10,331 708 50,639 38,726 10,332 1,581 -4.67
소견서 9,550 6,321 2,907 322 8,966 5,767 2,743 456 -10.71
증명서 36,712 4,239 31,883 590 36,508 4,787 30,997 724 6.51
감정서 32 31 1 35 35 0.56
인터넷 3,949 3,949 3,991 3,991 -8.57
95,459 44,768 45,122 1,620 3,949 100,139 49,315 44,072 2,761 3,991 -1.05

진료정보 검색현황

  • 연구용 자료검색(상병, 수술, 처치, 처방관련 기타 명단조회)건수는 전년도 대비 13건(11.1%) 감소
(단위 : 건,%)
신청부서 01월 02월 03월 04월 05월 06월 07월 08월 09월 10월 11월 12월 2016년 2015년 증감(%)
소화기내과 1 1 1 3 2
심장내과 1 1 2 4
호흡기내과 1 1 1
내분비내과 1 1 1 1 4 6
신장내과 1 1 1 1 1 5 6
종양혈액내과 1 1 1 3 3
감염내과 - 1
류마티스내과 1 1 1 1 4 4
신경과 1 4 1 2 2 1 11 4
정신건강의학과 1 1 1
외과 1 1 1 3 6
정형외과 1 1 1 2 2 7 8
신경외과 1 1 1 3 4
흉부외과 1 1 3
성형외과 - 2
산부인과 - 2
소아청소년과 4 2 1 1 1 9 9
안과 1 1 1 3 2
이비인후과 - 4
피부과 1 1 4
비뇨기과 1 1 1 3 6
영상의학과 - 4
재활의학과 1 2 1 1 3 8 6
가정의학과 1 1 2 2
응급의학과 1 1 1
치과 3 1 1 2 1 2 3 1 1 15 16
진단검사의학과 1 1 2 -
진료부서합계 10 6 11 6 8 9 11 7 6 8 7 3 92 111 -17.1
간호부 1 2 1 1 5 -
연구기획팀 - 3
홍보팀 1 1 -
적정진료지원팀 1 1 2 3
의료기획팀 1 1 -
영양집중지원팀 1 1 2 -
보험심사팀 1 1 -
행정부서합계 1 1 1 1 4 2 1 1 12 6 50.0
총 합 계 10 7 11 7 9 10 15 9 7 9 7 3 104 117 -11.1
  • 통계용 자료검색(환자수, 진료실적 관련 검색)건수는 전년도 대비 31건(15.0%) 증가

(단위 : 건,%)

신청부서 01월 02월 03월 04월 05월 06월 07월 08월 09월 10월 11월 12월 2016년 2015년 증감(%)
소화기내과         1 1             2 1  
심장내과 1                       1 4  
호흡기내과         1 1             2 2  
내분비내과         2 2       2     6 6  
신장내과 1   1                   2 3  
류마티스내과     1                   1 -  
감염내과         1 1             2 -  
신경과 1 1   1 1 1   1         6 5  
정신건강의학과 1       1 2             4 5  
외과   3 1 1 1 1 1 2 1 2 1   14 12  
정형외과         3 1   2   1 1   8 5  
신경외과                       1 1 2  
흉부외과     1                   1 -  
성형외과     1   2 2             5 5  
산부인과     1   1 1             3 4  
소아청소년과         1 2 1           4 5  
안과   1 1   1 1             4 4  
이비인후과   2   1 1 1       1     6 5  
피부과   1     2 2             5 6  
비뇨기과 2 1 2 1 1 1 1 1 1 1 1 1 14 14  
영상의학과         1 1             2 -  
재활의학과   1   1 1 1             4 5  
가정의학과         1 1             2 2  
응급의학과   1     1 2 2 2         8 3  
마취통증의학과     1                   1 -  
치매예방센터                     1   1 -  
치과 1     1   2         1   5 7  
진단검사의학과               2         2 -  
진료부서 합계 7 11 10 6 24 27 5 10 2 7 5 2 116 105 10.5
간호부 5 4 2 3 11 6 5 5 4 4 6 4 59 35  
기획예산팀 3 2 2 2 1 2 1 1 3 2 1 3 23 18  
경영평가팀     2 4   1 1 1       1 10 6  
연구기획팀       1   1             2 7  
홍보팀                         -  6  
적정진료지원팀     1         1         2 4  
공공의료사업팀       1           1     2 1  
감염관리실                         - 1  
의료기획팀     1   1 3           1 6 3  
약제팀                         - 1  
영양팀                         - 1  
교육수련팀         1 2             3 -  
총무팀     1                   1 1  
인사팀       1                 1 1  
원무팀   2     1   1   2 3 2 1 12 11  
구매관리팀                         - 1  
비서실 1                       1 -  
증축전담팀                         - 5  
행정부서합계 9 8 9 12 15 15 8 8 9 10 9 10 122 102 19.6
총 합 계 16 19 19 18 39 42 13 18 11 17 14 12 238 207 15.0

모자보건 실적보고 현황

  • 영유아신고, 분만, 미숙아, 영아사망은 전년대비 총 5건(-0.8%), 선천성이상아, 사산은 전년대비 총 2건(-16.7%)감소
(단위 : 건,%)
신청부서 01월 02월 03월 04월 05월 06월 07월 08월 09월 10월 11월 12월 2016년 2015년 증감(%)
영유아신고 20 19 18 17 30 20 20 23 31 27 19 19 263 269 -2.2
분만 19 17 18 14 28 21 18 22 27 26 16 17 243 266 -8.6
미숙아 9 13 4 6 14 14 10 8 11 8 12 5 114 86 32.6
선천성 이상아 1 1 1 1 1 1 6 4 50.0
임산부 사망 - - -
영아사망 5 -80.0
사산 1 1 1 1 4 8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