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메뉴

- 직원 명단
직원명단
NO 구분(직종) 직 위 인 원 성 명
1 의사직 실장 1 유종하
2 사무직 부실장 2 박선철, 서종욱
3 간호직 부장 1 이승신
팀장 3 김정남, 백은정, 김현진
팀원 8 질 향상 및 환자안전팀 : 김소정, 이승현, 윤선영
진료적정성팀 : 이다현, 엄윤미
환자경험팀 : 정지윤, 정욱, 권혜림
총 인원 15
- 주요 활동
⑴ 질 향상 활동
2024년도 질 향상 활동 중점과제‘소통과 협력 기반의 질 향상 및 환자안전’선정
질 향상(QI) 활동 과제 승인 및 지원 : 핵심QI 9편, 부서자율QI 8편
사후관리를 위한 추후모니터링(CQI) 추진 : 9편 점검 실시(6월, 11월)
QI 성과 환류를 위한‘QI학술대회’개최(병원장 및 임직원 365명, 협력병원 15개 기관 참여)
의료의 질적 향상 도모를 위한 적정진료위원회 개최(6회)
질 향상(QI) 활동성과 및 우수사례 공유
학회명 내역
대한환자안전학회 ‘혈액처방부터 불출까지의 효율적인 수혈 준비 업무를 위한 개선활동’ 등 구연 3편, 포스터 4편 발표
(구연 학회장상 1편, 포스터 학회장상 1편 수상)
국제의료질향상학회 ‘수술 대기시간 및 턴오버 단축을 통한 수술실 효율성 향상’ 등 포스터 4편 게시
한국의료질향상학회 ‘투약 시 올바른 PDA 사용 FMEA’ 등 구연 5편, 포스터 4편 발표
‘Choosing wisely(현명한 선택) 캠페인의 의료기관 적용 가능성’ 특별세션 발제
⑵ 환자안전관리
환자안전전담인력 배치 및 운영(3명)
환자안전관리위원회(2회), 환자안전보고심의위원회(4회), PRN·구두처방 소위원회(5회) 운영
환자안전관리위원회 운영 실적 및 전담인력 현황 국가 중앙환자안전센터 보고
국가 환자안전주의경보 발령 및 원내 환자안전 주의경보 발령에 따른 원내 현황파악 및 개선조치(5건)
환자안전사고 사례 체계적 분석 및 보고, 관련 개선활동 추진(연간)
환자안전 Go-Up을 위한 현장 모니터링 강화 및 개선
  • 환자안전 주간 정기점검(4회) 및 Focus 라운딩(8회) 실시
다각적 접근을 통한 전사적인 환자안전 개선활동(50건) 추진
환자안전사고 예방 및 재발방지 활동 실시
  • 직군별 환자안전 아카데미 운영(49회, 393명)
  • 부서별 환자안전담당자 Safety Guardian 운영(24명) : 정기모임(4회)
  • 환자안전지표관리(환자확인율 등 10개 지표)
환자안전 위험도 평가에 따른 위험관리활동 추진(FMEA, RCA)
환자안전사고 재발방지 지원체계 인적오류 분석(278건)에 따른 체계적 교육 지원(43명)
올바른 환자안전문화 조성을 위한 환자안전 인식 확산 노력
  • 환자안전 캠페인 및 환자안전 주간행사(직원, 환자, 보호자 936명)
  • 환자안전 퀴즈쇼(4회, 162명), 세이프 타임즈(1 ~ 6호) 발행
환자안전 우수부서(4부서) 및 직원(4명) 포상
환자안전점검팀 운영을 통해 효율적인 환자안전점검 실시(8차)
  • 의료기관평가인증 유지관리를 위한 인증기준 항목 모니터링 및 점검
⑶ 의료기관평가인증 관리
4주기 의료기관평가 인증 후 지속유지를 위한 활동
  • 4주기 의료기관평가 인증 후 1년차 중간자체조사
  • 조사준비 : 직종별 온라인 교육자료 제작 및 배포, 시스템 추적자료(7개분야) 준비, 자체조사위원 오리엔테이션 및 교육 실시
  • 조사결과 : 전체기준 모두‘충족’(9.9점)
4주기 의료기관평가인증 중간자체조사 관련 우수직원(6명) 및 우수부서(2개) 포상 진행
진료세칙심의위원회 개최(2차)
  • 의약품관리 절차, 수술/시술 계획, 의료사회복지 절차 등 33개 진료지침・절차 제․개정 보고
  • 정확한 수술, 낙상예방, 취약환자권리보호 등 59개 진료세칙 신설 및 개정
⑷ 표준진료지침(CP, Critical Pathway) 관리
표준진료지침관리 위원회 운영(2회) … 신규 CP 개발 주제 심의, 의결 등
신규 CP 개발 : 정형외과 대퇴전자부골절, 심장내과 심방세동 냉각풍선절제술 등 6개
  • CP 누적 개발 개수 : ('22) 128개 → ('23) 134개 → ('24) 140개
旣 개발 CP 90개의 재정비 및 처방 갱신 165건
표준진료지침 적용 강화를 위한 개선활동 추진
  • CP 적용 우수 전문의 포상(3명), 분기별 CP 지표 모니터링 및 경영진 결과 보고(4회)
  • 사용자별 맞춤 주제 CP 교육(36회), CP 개발 신청서 전산시스템 신규 구축 등
성형외과, 외과 표준진료지침 임상의학연구 진행 지원(2개)
일산병원 표준진료지침의 대내외 연계·협력 및 확산 활동
  • 국내 최초 표준진료지침 개발 자료 대외 공개(47개 의료기관 대상, 90개 CP 자료)
  • ‘CP 우수사례 발표회’ 개최(원내 직원 참여 및 지역 내 의료기관 사업담당자 초청)
대외 평가 수검 및 우수성과 창출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주관 신포괄 정보관리평가 CP 운영‘5년 연속 만점’획득
⑸ 진료권한 관리
진료권한 위원회 운영(1회) … 190명 전문의의 진료 수행 적정성평가 시행 등
의사직 진료권한 승인(71명), 인근 지역 내 최초 진료권한평가 전산시스템 구축 완료
⑹ 지표(CI, Clinical Indicator) 관리
‘환자확인율’등 41개 임상지표 선정 및 목표 미달성 지표의 개선활동 점검 강화
  • 분기별 결과보고서 취합, 개선활동 적정성 점검, 경영진보고 및 전직원 공유(4회)
‘일반병동 심정지 발생률’지표 향상을 위한 QI활동 참여
  • 지표관리 전산시스템 개발 및 보완 등 개선활동 지원(2024년 QI 포스터부문 은상)
대내·외 지표담당자 대상의 역량강화를 위한 임상지표 우수사례 공유
  • CI 우수사례 발표회’개최(원내 직원 및 지역 내 지표담당자)
  • 지표 이론 및 실습교육 시행(원내 부서별 지표담당자 대상, 3회)
의료 서비스의 질적 수준 파악 및 개선활동 참고 가능한‘2nd Outcomes Book’발간
백내장 및 만성폐쇄성폐질환 등 진료성과 지표 추출 전산 개발(26개)
⑺ 적정성평가 관리
평가 항목별 다학제팀 구성 및 평가 대비 지표 충족을 위한 개선활동 수행
  • 류마티스관절염 평가의 알람시스템 개발 및 교육 서식 개발(3월)
  • 급성기뇌졸중 평가의 시술기록지 및 입원기록지 서식 보완(9월)
  • 평가지표 이해를 위한 관련 직원 교육(폐렴 등 4항목, 10회)
평가 수검업무 수행 : 간암, 혈액투석 등 14항목 조사표 제출 및 신뢰도 점검(26회)
효율적인 지표관리를 위한 데이터웨어하우스 정보 개발(영상검사 등 5항목, 12개 지표)
신규평가 대비 선제적 대응 활동 : 고관절치환술 예비 적정성평가 참여(7월)
성과관리 : 2024년 적정성평가 등급 공개‘18항목 전체 1등급’획득
⑻ VOC(Voice of Customer) 관리
체계적인 고객의 소리(VOC) 관리
  • VOC 접수 및 처리(연간)
  • 고충상담 처리 및 문제유형별 분석 자료, 배상 및 감면현황 보고(월별/분기별)
  • 고충상담 접수 현황 및 처리결과 공유(진료과 건별, 부서 분기별)
의료분쟁 및 민원감소 활동
  • 환자경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입원부터 퇴원까지의 단계별 표준응대 강화(QI) 추진
  • 주요 접점별 환자경험 매뉴얼 마련(7개 접점)
  • 고충상담 분석자료 부서별 공유(97개 부서)
민원사례분석을 통한 업무 개선 활동
  • 「반복민원예방 Tip」발행(4건), 사안별 개선 활동(14건)
의료분쟁예방위원회(6회) 및 진료 관련 대책회의(2회) 운영
⑼ 환자경험관리
환자만족도 관리
  • 다양한 채널을 통한 VOC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모바일(입원) 모바일(외래) 모바일(응급) 제안카드 제안 QR 벤치마킹 합계
4,141 13,346 2,202 294 242 30 20,255
  • ‘환자경험 설문조사’결과 분석 및 보고(월별, 분기별)
구분 외래영역 입원영역 응급영역
만족도 82.01(전년대비 ↑ 1.76) 87.39(전년대비 ↑ 1.33) 77.81(전년대비 ↑ 4.57)
환자경험 관리위원회 운영 (5회)
  • VOC 현황 및 환자만족도 결과 보고, 환자경험 사업 승인 및 전략 수립(14개 사업 추진)
환자경험 직원 동기 부여 프로그램
  • 월별 주제 기반‘환자경험 달인’선정(11명)
  • 고객 감사편지 수집 및 게시(46건)
  • 환자경험 우수부서(4개), 우수 진료과(4개), 우수직원(16명) 병원장 포상
  • 환자경험 아이디어 제안 개선 적용(60개 제안 중 22건 자체포상)
긍정적 환자경험 촉진 전략 활동
  • 환자경험 캠페인 : 고객제안 QR홍보, 직원 복장개선, 환자경험 매뉴얼 표준화 캠페인
  • 환자경험 특강(2회) : 환자경험 나누기, 의료진 감사 영상, 환자경험 포토존 전시 등
  • 환자경험 체득화 활동 : 환자경험 「You Quiz」방문(19개 부서, 60명), 모바일(70개 부서, 132명)
  • 환자경험 매거진 발행(5회) : 환자경험 관련 최근 소식 및 활동내용 안내
환자경험 리더 운영(33명)
  • 접점부서 MOT 모니터링 및 현장 피드백(5회, 34개 부서)
  • 환자경험 리더 간담회(2회) 및 종합 워크숍(1회) : 환자경험 활동 의견수렴 및 성과보고
5차 환자경험 평가 대비 TFT 구성 및 운영
  • TFT 구성(총 59명) : 의사직(24명), 간호직(15명), 보건직(8명), 약무직(1명), 사무직(11명)
  • TFT 발대식(10.07.) 및 1차 교육 및 그룹별 회의 진행(12.03.)
환자경험 자원봉사단 운영 : 환자 안내 및 동행서비스 지원(11월 ~ 12월, 143명 참여)
⑽ 환자경험교육
환자경험 개선과정
  • 신규전문의 진료상담 역량강화 과정('23년 이후 입사 전문의 대상, 9명)
  • 진료 영상 및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통한 개인별 맞춤 코칭
  • 접점부서 고객응대 역량강화 과정 (94명)
  • 개별 강점진단 기반 고객응대 역량 강화 소그룹 코칭(10그룹, 그룹당 3회)
환자경험 향상 및 직원 역량강화 교육
교육과정 내용 대상 횟수(인원)
전 직원 환자경험 향상교육 강의형 민원 사례별 찾아가는 교육 전 직원 37회(230명)
상황별 응대 동영상 교육 접점부서 직원 13회(287명)
실습형 함께하는 동행 ‘人’ 일반직 보직자 47회(47명)
환자경험 리더 교육 환자경험 리더 양성 교육 환자경험 리더 1회(30명)
고객응대 기초교육 표준화된 고객응대 집중교육 접점부서 직원 5회(115명)
협력사 직원 교육 고객 응대 체득화 교육 입점업체 직원 15회(113명)
간호실 요청 교육 신규간호사 환자경험 교육 신규간호사 5회(144명)
신입 업무지원직 환자경험 교육 신입업무지원직 5회(31명)
재직간호사 환자경험 교육 재직간호사 1회(345명)
환자경험 특강 환자경험 나누기 전 직원 2회(383명)
의료분쟁 예방 특강 의료분쟁 진행과정과 대처방안 전 직원 2회(352명)
2. 대외활동
대외활동
NO 성 명 대외활동 내용
1 유종하
  • -
    의료기관평가인증원 자원조사위원 및 평가위원
2 이승신
  • -
    경기도간호사회 대의원
3 백은정
  • -
    서정대학교 간호대학 겸임 교수
4 김소정
  • -
    병원상처장루실금간호사회 도대표(경기도 위원)
- 주요 업무통계 : QI 활동현황
NO 영역 주제 활동팀명
1 간호업무개선 진료재료 관리 효율성 향상 Suitable safe & save
2 진료과정개선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기반 유전자 패널검사 활성화 활동 유전자 트랜스포머
3 진료지원 업무개선 환자이송 업무 표준화를 통한 환자이송 효율 향상 모범이송
4 신생아집중치료실 전원 수용 활성화 활동 Two way transfer
5 산제 처방 개선을 통한 업무 효율 향상 활동 갈까말까
6 행정지원 업무개선 의료기관의 체계적인 직원 근무복 관리를 통한 불필요한 근무복 폐기 및 재세탁 감소 활동 청결한 근무복 관리
7 임상질질표 일반병동 심정지 예방 및 관리 시스템 개선활동 ONE Less Click
8 질 향상 질 관리 의료기관의 에너지 사용량 관리를 통한 에너지 비용 감소 활동 에(애)쓰는 너가 최고지
9 신장내과, 통합내과 재원일수 관리를 통한 병상 운영 효율 향상 평균재원일수 DIET UP
10 정신건강의학과 입원환자의 ‘격리 및 강박’ 기록 업무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의무기록 충족 향상 활동 숨은 기록 찾기
11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통한 양질의 회송 활성화 안심회송
12 고객만족도 향상 환자경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입원부터 퇴원까지의 단계별 표준응대 강화 활동 Care Forward
13 저탄소 식생활을 위한 환자급식 그린밀 적용 향상 활동 녹녹한 식사프로젝트
14 환자안전 집중치료실 혈류감염 예방을 위한 중심정맥관 관리 향상 프로젝트 중심정맥관 꼼.닦.마.
15 입원환자 욕창 예방 활동 강화를 통한 욕창 발생 감소 활동 욕창NO! 예방Go!
16 PCA 유지관리 프로토콜 개발을 통한 표준화된 관리 수행 향상 활동 PCA 무엇이든 물어보살
17 집중치료간호부 POCT 검체 오류 감소 활동 SAVE
- 학회 및 세미나 참가
NO 학회명 참가자 참가기간 개최지
1 대한병원협회 환자안전전담인력 보수교육 김정남 외 2명 2024.01.22. ~ 12.31. 온라인
2 대한환자안전질향상간호사회 연수교육 (QI개념 및 QI활동을 통한 변화관리 사례) 김정남 2024.03.20. 서울
3 대한환자안전학회 대한환자안전세미나 김정남, 윤선영 2024.04.03. 온라인
4 대한환자안전질향상간호사회 연수교육 (CP관리와 사례) 이다현 2024.04.25. 서울
5 대한환자안전질향상간호사회 봄 학술대회 오인옥 외 2명 2024.04.12. 서울
6 한국의료질향상학회 전담인력 보수교육 윤선영 2024.04.18. 서울
7 2024년 VOC컨설턴트 과정 정욱, 정지윤 2024.05.18. 서울
8 대한환자안전질향상간호사회 전담인력 보수교육 김정남 2024.05.23. 서울
9 2024년 환자경험 평가 연수 (초급과정) 유종하 외 2명 2024.05.24. 서울
10 2024년 VOC컨설턴트 심화과정 정욱, 정지윤 2024.05.25. 서울
11 대한환자안전학회 정기학술대회 정중환 외 9명 2024.05.29. 서울
12 간호사 보수교육-요양급여 적정성평가의 이해 김소정, 엄윤미 2024.05.29. 서울
13 Hi –pex 2024 컨퍼런스 한창훈 외 11명 2024.06.19. ~ 06.21. 서울
14 한국의료질향상학회 봄 학술대회 박선철 외 5명 2024.06.21. 서울
15 대한환자안전질향상간호사회 연수교육 (환자안전문화 향상을 위한 조직관리) 윤선영 2024.07.11. 서울
16 미래긍정:노먼 포스터 유종하 외 4명 2024.07.18. 서울
17 대한환자안전질향상간호사회 연수교육 (2024년 환자안전 개선활동 사례) 김정남 2024.08.13. 서울
18 2024년 환자경험 평가 연수(중.고급과정) 유종하 외 3명 2024.08.23. 서울
19 신뢰도 향상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백은정, 권혜림 2024.09.10. 서울
20 대한환자안전질향상간호사회 연수교육 (환자안전전담인력 13대 업무) 이승신 외 2명 2024.09.04. 서울
21 국제의료질향상학회 40th 학술대회 윤순희 외 4명 2024.09.25. ~ 09.26. 튀르키예
이스탄불
22 대한환자안전질향상간호사회 가을학술대회 장문영 외 8명 2024.10.17. 서울
23 대한환자안전학회 정기학술대회 한정미 외 4명 2024.10.30. 서울
24 환자경험 실무자 과정 백은정, 정지윤 2024.11.02. 서울
25 한국의료질향상학회 가을학술대회 유종하 외 10명 2024.11.28. ~ 11.29. 경북 경주
26 대한병원협회 환자안전전담인력 신규교육 김소정 2024.12.09. ~ 12.11. 서울
1. 학회 및 세미나 발표
국내학회
국내학회
NO 국내학회명 제목 발표자 발표년월
1 대한환자 안전학회 혈액처방부터 불출까지의 효율적인 수혈 준비 업무를 위한 개선활동 정중환 2024.05.29.
2 대한환자 안전학회 CRE 감염관리의 혁신적인 전략과 효과 정한나 2024.05.29.
3 대한환자 안전학회 직원 안전관리 강화로 건강한 직원, 안전한 병원 만들기 김혜란 2024.05.29.
4 대한환자 안전학회 간호순회활동 기록 및 일상생활 지원업무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Smart workplace 구축 조지선 2024.05.29.
5 대한환자 안전학회 스마트 수액속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한 투약 안전 강화 활동 한정미 2024.10.30.
6 대한환자 안전학회 입원 응급약품 처방 감소 정승민 2024.10.30.
7 대한환자 안전학회 비계획적 발관 발생 감소 활동 윤선영 2024.10.30.
8 한국의료 질향상학회 고객응대 업무 표준화를 통한 민원 감소 활동 정욱 2024.11.28.
9 한국의료 질향상학회 투약 시 올바른 PDA 사용 FMEA 활동 정은진 2024.11.28.
10 한국의료 질향상학회 적정한 드레싱 및 피부간호 제품 사용을 통한 비용 효과 향상 활동 정후주 2024.11.28.
11 한국의료 질향상학회 수술 대기시간 및 턴 오버 단축을 통한 수술실 효율성 향상 윤순희 2024.11.28.
12 한국의료 질향상학회 병원 ESG 실천을 위한 폐기물 분리배출 강화 활동 이승호 2024.11.28.
13 한국의료 질향상학회 다각적 접근을 통한 감염관리 교육 개선 : 효율적 교육 방법 및 시스템 개선 사례 허정희 2024.11.28.
14 한국의료 질향상학회 이상지질혈증 회송 CP 활성화 활동 박희선 2024.11.28.
15 한국의료 질향상학회 실버케어식 개발을 통한 환자 식사만족도 향상 활동 김수아 2024.11.28.
16 한국의료 질향상학회 설명시스템 변화를 통한 응급의료센터 고객 만족도 향상 여태원 2024.11.28.
17 한국의료 질향상학회 ‘Choosing wisely(현명한 선택) 캠페인의 의료기관 적용 가능성’ 특별세션 발제 유종하 2024.11.28.
18 대한민국 의학한림원 현명한 선택 캠페인 심포지엄 2024 유종하 2024.12.10.
국제학회
NO 국제학회명 제목 발표자 발표년월
1 국제의료 질향상학회 수술 대기시간 및 턴오버 단축을 통한 수술실 효율성 향상 윤순희 2024.09.25.
2 국제의료 질향상학회 혈액처방부터 불출까지의 효율적인 수혈 준비업무를 위한 개선활동 이진희 2024.09.25.
3 국제의료질향상학회 CRE 감염관리의 혁신적인 전략과 효과 정한나 2024.09.25.
4 국제의료질향상학회 스마트 수액속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한 투약 안전 강화 활동 정승기 2024.09.25.
2. 강의
강의
NO 주제 대상 강의자 강의일 장소
1 지역 연계 표준진료지침(CP) 개발 지원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 책임의료기관지원팀 이다현 2024.11.21. 서울 강북
(파라스파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