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명단
NO |
구분(직종) |
직 위 |
인 원 |
성 명 |
1 |
사무직 |
기획조정실장 |
1 |
장용섭 |
부장 |
1 |
김영환 |
팀장 |
3 |
최경욱, 김영휘, 김광희* |
팀원 |
6 |
김미연, 김동환, 신언석, 김수연, 양인선, 심지은* |
총 인원 |
11 |
|
* 재정안정안정특별대책추진단(T/F) 총괄관리반 근무(`23.12.04. ∼)
- 주요 활동
핵심사업 위주 재원 배분 등 합리적 사업예산 편성 … 총 4,189억 편성(전년대비 145억 증액)
경영환경 변화에 능동적 대응을 위한 조직개편
- 조직 신설․개편, 인력 운영 개선 등을 통한 조직 운영의 효율성 향상
개편사항 |
주요내용 |
조직 정비 |
-
-
입원의학과(외과계 입원 전담의) 폐지 : 인력수급 어려움에 따른 정원 조정 및 직제 정리
-
-
조직은행(인체조직 처리) 폐지 : 식약처 폐업 신고 완료에 따른 직제 정리
|
부(과)명 변경 |
-
-
「의료법 시행규칙」 41조 개정에 따른 진료과목명 변경
(기존) 흉부외과 → (변경) 심장혈관흉부외과
-
-
알레르기내과 분과 전문의 운영에 따른 알레르기 분야 진료 증대
(기존) 호흡기내과 → (변경) 호흡기알레르기내과
-
-
멸균 및 공급 관련 수행 업무 명확화 등
(기존) 중앙멸균소독실 → (변경) 종앙멸균공급실
|
보직 개편 |
-
-
신경과 산하「뇌졸중집중치료실」설치 및 관리 의사 직책 신설
-
-
국제진료센터, 스마트병원혁신부, 중앙멸균공급실 보직 신설·추가 : 팀장 보직
사업 확대 및 원활한 업무 기능 등을 고려
-
-
총무부 보직 기준 변경 : 보직 기준에 간호직 추가 (사무직 → 사무직, 간호직)
「중대재해법」시행에 따른 간호직 관리자 역할 필요성 증가
|
외부환경 변화에 대한 능동적
대응을 위한 임시조직
신설 및 개편
(14회) |
-
-
표준일차의료개발센터(TFT) (02.03.) : 지역기반 환자중심 표준일차의료모델 시범 운영 추진
-
-
심장이식 준비(TFT)(03.27.) : 안전하고 효율적인 심장이식 수술 시행을 대비한 제반사항 준비
-
-
첨단재생의료센터(05.23.) :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관련 인프라 구축, 연구 수행 역량 강화
-
-
미래전략위원회 T/F(07.04.) : 병원 현안사항 해결, 새롭게 부상하는 사안에 대한 선제적 대응전략 제시 및 유관부서 업무역량 결집과 세부과제와 실행과제 도출
-
-
권역거점 공공어린이재활운영단(TFT)(07.31.) : 경기권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의 ‘공공어린이재활프로그램(신규사업)’을 운영하여 장애아동과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
-
-
응급의료혁신실(T/F)(08.01.) : 권역응급의료센터 운영 관련 사항을 추진하여 중증·응급 환자의 완결형 치료를 제공하고, 응급의료기관 평가 지표 관리를 통한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속 운영을 지원
-
-
재정안정특별대책추진단(T/F)(11.30.) : 수입확충 ‧ 재정관리 등을 통한 재정안정화를 추진하고 관련 자구책을 마련
-
-
로봇수술센터(T/F)(12.15.) : 로봇수술시스템 및 진료권역 내 로봇수술 특화센터 운영
-
-
업무 추진 강화를 위한 임시 조직 개편: 근무형태 효율화 검토 위원회(TFT), 표준일차의료개발센터(TFT), 로봇수술센터 등
-
-
조직 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임시조직 해체 : CDW 구축 추진단
|
재정안정특별대책추진단(T/F) 구성·운영(’23.12.~) … 기존 회의체(재정안정대책반) 확대 운영
- ‘조기 재정 안정화 및 지속가능한 병원 운영체계 확립’을 목표로 전사적 차원의 「일산병원 Go-up 프로젝트」를 가동하여 적극적인 수입 확충·재정관리 대책 추진
- 2개 대책(수입 확충, 재정관리), 5개 추진반(총괄관리반, 진료혁신반, 재정분석반, 지출관리반, 진료지원반)을 구성하여 18개 실행과제 및 목표 설정
∙ (총괄관리) 재정안정 종합계획 수립, 미진과제 대책 강구 등 종합 관리
∙ (진료혁신) 진료량․수입확충 대책 관리, 진료혁신 계획 마련
∙ (지출관리) 비효율적인 업무 발굴, 지출절감 방안 마련
∙ (재정분석) 대내외 재정여건을 고려한 정밀 분석 및 관리시스템 구축
∙ (진료지원) 수입확충·지출절감 item 모색을 위한 데이터 생산 및 제공
주요 의결기구 운영
의결기구 |
개최 수 |
주요 보고‧의결사항 |
병원운영위원회 |
9회 |
제규정 개정 등 20건 심의․의결 |
병원운영심의위원회 |
1회 |
2024년도 사업예산안 심의․의결 |
내부직원 간 상호협력 확대를 통한 참여경영 및 소통경영 강화 개선 신규
- 현안 해결방안 모색 및 의료계 주요 이슈 공유 등을 위한 경영진 소통채널 활성화
대상 |
추진실적 |
경영진워크숍 계속 |
-
-
‘Step-Up 일산병원’을 위한 경영진 워크숍 개최(11.10.)
최근 5년간 주요성과 및 변화 feed-back, 병원 미래발전을 위한 경영진 의견 수렴
|
 |
제안제도 운영 계속 |
-
-
‘진료회복 및 경영혁신’을 위한 지정주제 제안 공모(2회)
지정제안 공모 회당 192건 접수 … 전년 대비 38건 증가
-
-
포상신설 : 최초제안상(개인), 제안 실시상(부서)
※ 직원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및 시행부서 실시 동기 부여
|
 |
이슈페이퍼 발간 신규 |
-
-
정책, 트렌트, 사회이슈 등 급변하는 경영환경과 경영분석 insight를 신속히 전달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 지원
월 1회 발간(총 11회)
|
외부 이해관계자 협력 증대를 통한 병원 중점사업 추진력 강화 및 Win-Win 관계 구축
< 공단-일산병원 협력과제 >
- 1일산병원 인권센터 설립 모형 개발 및 지원
- 2공단-일산병원 연계 데이터 기반 공동연구
- 3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내 집중관찰병실 (시범) 운영
- 4공단-일산병원 자료연계 연구 지원 활성화
- 5일산병원 전용 클라우드룸 및 건강정보 리서치협력센터 확대
2023~2027 일산병원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23.04.)
- 4개 전략목표, 12개 전략과제, 37개 실행과제 도출
전략목표
(4개) |
표준
상급 종합병원 수준의 지속적 의료역량 확보 |
기준
건강보험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보험자병원 역할 수행 |
선도
지역의료 네트워크 리더·공공의료 선도 |
내실화
미래지향적 조직발전을 위한 경영 혁신 |
전략과제
(12개) |
-
-
특성화 센터 육성 및 진료 전문성 강화
-
-
환자중심 의료 서비스 제공 확대
-
-
디지털 헬스케어·스마트병원 시스템 선도
|
-
-
건강보험 제도 개선 선도적 역할 수행
-
-
빅데이터 기반 연구 할성화
-
-
연구범위 확대 및 성과 확산
|
-
-
필수의료 제공을 통한 의료 사각지대 해소
-
-
상호발전을 위한 지역 의료네트워크 구축
-
-
건강한 지역사회 조성 및 사회공헌 활동 확대
|
-
-
일산병원 브랜드 가치 제고
-
-
우수인력 확보를 위한 조직환경 조성
-
-
지속성장을 위한 병원 운영체계 강화
|
실행과제
(37개) |
8 |
9 |
9 |
11 |
목표지표
(61개) |
13 |
17 |
10 |
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