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IMC2018CR017 |
김보미 |
초음파상 BI-RADS3와 4 유방병변에서의 초음파 유도하 총생검: 본원에서 5년간의 결과 분석
|
NHIMC2018CR016 |
강상훈 |
골다공증 치료로 bisphophonate 약물을 투여받는 환자에서 발치술 후 약물 관련 악골 골괴사 발생률
|
NHIMC2018CR015 |
박영민 |
신장과 심뇌혈관질환의 발생과의 관계
|
NHIMC2018CR014 |
윤한국 |
수술적 치료를 받은 골다공증성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간헐적 부갑상선 호르몬의 효과
|
NHIMC2018CR013 |
장태익 |
복막투석환자에서 혈중 beta-2 microglobulin 농도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
NHIMC2018CR012 |
박원녕 |
KTAS의 실효성과 CTAS와의 비교를 통한 응급환자의 중증도에 대한 고찰
|
NHIMC2018CR010 |
유지형 |
급성 위장관염 환아에서의 바이러스에 따른 임상 양상의 비교 연구
|
NHIMC2018CR009 |
이천균 |
만성 B형 간염에 있어 Tenofovir alafenamide fumarate (TAF)의 치료효과
|
NHIMC2018CR008 |
김의혁 |
미성숙 자궁경부를 가진 산모에서 유도분만과 자연 진통 시 제왕절개율과 신생아 예후 비교
|
NHIMC2018CR007 |
김영식 |
슬링 수술시 Crede 유발검사를 통한 테이프 장력 조절 효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