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메뉴

- 직원 명단
직원명단
NO 구분(직종) 직 위 인 원 성 명
1 의사직 실장 1 박병규
부실장 2 유종하, 김태환
2 간호직 부장 1 오인옥
팀장 3 김정남, 백은정, 김현진
팀원 8 질 향상 및 환자안전팀 : 안정희, 윤선영, 정아인
환자경험팀 : 정지윤, 정욱, 염의원
진료적정성팀 : 진현경, 이다현
총 인원 15
1. 주요 활동
1
의료 질 향상 활동
  • 질 향상 활동
    • 2022년도 질 향상(QI) 활동 관리 : 핵심QI 11편, 부서자율QI 18편(수시접수 4편)
    • QI 단계별 점검 및 교육 지원 : 지표검토회 및 컨설팅 모임(5월, 16팀), 중간보고회(8월, 11팀), QI오리엔테이션(3~6월, 22팀), PD단계 교육(4월. 33명), CA단계 코칭(9월, 19명), 원외 QI관련 학회 연수교육 및 학회 참가 지원(30회, 150명)
    • 사후관리를 위한 추후모니터링(CQI) : 9편 점검 실시(7월, 12월)
    • 질 향상(QI) 활동 전 직원 환류 : 온․오프라인 QI경진대회 개최(11월, 260명)
    • 의료의 질적 향상 도모를 위한 적정진료위원회 개최(6회)
    • 질 향상(QI) 활동 성과 및 우수사례 공유
    학회명 내역
    대한환자안전학회(5.20) ‘약물 용량 오류 감소 활동’ 등 구연 3편, 포스터 1편 발표 …구연 학회장상 1편, 포스터 학회장상 1편 수상
    국제의료질향상학회(10.17.~10.20.) ‘의료기관의 공사감염위험도 평가 절차개선 및 감염관리 지침 준수율 향상 활동’ 등 포스터 10편 발표 …‘Best overall poster’ 수상
    한국의료질향상학회(12.8.~12.9.) ‘스마트한 위치추적 활용한 환자안전 개선활동’ 등 구연 2편, 포스터 8편 발표
  • 표준진료지침 관리
    • 표준진료지침관리위원회 운영(2회) : 신규 개발, 연구 과제 및 사업 운영(안) 승인
    • 신규 표준진료지침 개발(8개), 갱신(38개), 임상연구 진행 지원(2편)
      • 본원 개발 총 누적 건수 : (’21년) 120개 → (’22년) 128개
    • 컨퍼런스 개최(4회) : 소아청소년과「정상신생아 관리」등 4개 진료과, 8개 주제 갱신
    • 지역연계 진료회송 CP 운영 활성화를 위한 심장내과‘고혈압 관리 CP’ QI 활동 추진
      • CP 주제 : (’21년) ‘위식도 역류질환’ → (’22년) ‘고혈압 관리’
      • 실적 : 고혈압 CP 적용률 (’21년) 10.2% → (’22년) 24.3%
    • 지표관리 : 분기별 CP 지표 모니터링 및 경영진 결과 보고, 진료과별 공유
      • 주요 지표 결과 : (’21년) CP 적용률 89.8% → (’22년) CP 적용률 94.1%
    • 표준진료지침 적용 우수 전공의 포상(분기별) : 이비인후과 전공의 등 12명 포상
    • 신규 개발팀, 진료과별 순환 전공의, 간호직원 대상의 표준진료지침 교육 실시(42회)
    • 감염내과 표준진료지침 매뉴얼 제작 및 진료과, 관련 부서 배포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주관 ‘신포괄 정보관리 평가(CP 운영)’수검 결과 3년 연속 만점 획득
    • 보건복지부 주관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 평가(CP 부문)’결과 2년 연속 만점 획득
    • 보건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 주관 ‘공공의료 CP 개발’ 참여병원 선정 및 사업 수행
      • 개발 CP 주제 : 감염내과 말라리아 치료
    • 파주의료원 등 인근 지역병원 10개 기관에 ‘말라리아 치료 표준진료지침’자체 연계 보급
    • 대한환자안전질향상간호사회에서 ‘일산병원 CP 운영 체계’ 발표
  • 지표 관리
    • 「암」등 16개 영역의 113개 지표 결과 산출 및 진료과, 경영진 보고(2회)
    • 「환자확인율」등 60개 지표 선정 및 관리(분기 1회)
    • 부서별 지표 담당자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지표이론 및 실습 교육(7회)
    • 전 직원의 지표관리 중요성 인식 향상을 위한 CI Talk Talk 홍보 활동(7회)
    • 지표관리 우수부서 선정 및 포상(3개부서 : 약제부, 영상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2
환자안전관리
  • 환자안전전담인력 운영 및 배치(4명)
  • 환자안전관리위원회(2회), 환자안전보고심의위원회(4회), PRN․구두처방 소위원회(3회) 운영
  • 환자안전법에 따른 환자안전관리위원회 및 전담인력 현황 국가 중앙환자안전센터 보고(1.25.)
  • 환자안전사고 사례 분석 및 보고, 관련 개선활동 추진(연간)
    • 이동식 자외선 소독기 예방점검 방법 개선, 비치약품 관리 시스템 점검, 간헐적 투여용법 시스템 개선, 상부위장관조영술 업무절차 개선 등
  • 낙상예방 device 적용을 통한 낙상발생 및 손상감소 FMEA 추진(5월~12월)
  • MRI 검사 시 인체삽입물 확인 강화 RCA 추진(10월~12월)
  • 의료기관평가인증원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 운영 업무수행(9회)
    • 인증원 환자안전주의경보 입원 후 발생한 섬망 등 6회 공유
    • 분무요법 투약오류 예방을 위한‘분무 투약용 주사기’입고 추진
  • 원내 환자안전주의경보 발령 및 교육 :「가정용 인공호흡기 증류수 보충 시 수액세트 사용 금지」등 4건
  • 신포괄 정보관리평가「환자안전 Alert 시스템 운영」관련 자료 제출(3.29.)
  • 약속처방 검토 추진(소화기내과, 외과, 정형외과, 내과, 심장내과) … 퇴직 2년 경과 개인 약속처방 관리 프로세스 구축
  • 환자안전 첨단제품‘사원증 녹음기’설명회 개최 및 도입(21개 부서, 42대)
  • 환자안전이슈 및 주요 안전보고 사례별「환자안전 Focus 라운딩」실시(8회)
  • 환자안전지표 선정(1.18.) 및 관리 … 구두처방 24시간 이내 의사처방 완수율 등 10개 지표
    • 부서별 환자안전지표관리자(Safety Guardian) 운영 : 정기모임(5회, 137명)
  • 환자안전사고 예방 및 재발방지를 위한 교육 실시(의사직 368명, 일반직 1,323명)
  • 환자안전영역 위험등록부 검토 및 위험도 평가 실시 … 낙상예방 개선주제 승인
  • 환자안전캠페인 및 안전주간행사 실시
    캠페인 및 안전주간행사 리스트
    캠페인 및 안전주간행사 실적
    환자안전 도전 골든벨 등 4종 직원 569명 참여, 환자안전문화 우수부서 6부서 병원장 포상
    나만의 환자안전 노하우 공모전 등 4종 환자 400명, 직원 651명 참여, 환자안전 아이디어 6명 포상
  • 환자안전 우수부서(3부서) 및 직원(2명) 포상
3
의료기관평가인증 관리
  • 진료프로세스 변경에 따른 진료세칙심의원회 개최(3회)
    • 진료세칙 개정(26개), 진료지침 및 절차 개정(15개)
  • 3주기 의료기관평가인증 중간자체조사 시행 (2.21.~2.24.)
    • 520개 조사항목 전 항목 ‘충족’
  • 3주기 의료기관평가인증 현장평가 대비 직원교육 자료보완 및 핸드북 개정 배부
    • 중간현장조사 대비‘자체조사 및 리허설’3회,‘직종별 직원 교육(797명)’10회 실시
  • 중간현장조사 수검을 통한 환자안전문화 정착 및 의료기관평가인증유지(9.27.~9.28.)
    • 전 조사항목에 대한 기준 충족 …‘기본가치체계’‘환자진료체계’등 4개 영역
  • 인증평가 기준 맞춤형 점검표를 활용한 환자안전점검 실시(75개부서)
  • Safety Guardian을 통한 의료기관평가인증 기준준수 현황 모니터링 : 분기별, 42개부서
4
적정성평가 관리
  • 본 평가 기간 대비 개선 활동 추진(대장암 등 15개 항목)
    • 다학제 회의 진행 및 회의결과에 따른 개선활동 수행(15회)
    • 평가 항목별 관련 직원 교육(29회)
    • 실시간 지표 모니터링 및 피드백을 통한 지표충족 활동(수시)
  • 평가 수검 업무 수행
    • 본 평가 관련 조사자료 제출 : 폐렴 등 4개 항목
    • 신뢰도 점검용 의무기록자료 제출 : 관상동맥우회술 등 3개 항목
  • 신규 도입 예정인 「영상검사」평가 대비 QI 활동
    • 주요활동
      • 영상의학과 전문의 토요일 오전 판독기준 변경
      • 조영제 사용 CT, MRI 전 신장기능검사 미시행자 알람 및 처방 유도 시스템 개발
    • 주요실적
      • ‘CT, MRI 촬영 후 24시간 이내 전문의 판독률’… 개선 전 대비 26.6%p 향상
      • ‘조영제 사용 검사 전 신장기능검사 실시율’… 개선 전 대비 14.6%p 향상
  • 선제적 대응 및 제도 개선활동 추진
    • 신규 적정성평가 도입 타당성 검증을 위한 예비 적정성 평가 참여(2항목)
    • 평가 항목 개선을 위한 ‘정신건강 입원영역’, ‘간암’등 4개 영역 지표개선 의견 제출
      • 주요실적 : 간암 평가 지표의견 반영
  • 성과관리 : 적정성평가 1등급 우수결과 획득(위암 등 13개 항목)
    성과관리
    만성폐쇄성
    폐질환
    신생아
    중환자실
    마취 수혈 급성기
    뇌졸중
    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
    하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
    주사제
    처방률
    약품목수 수술예방적
    항생제사용
    관상동맥
    우회술
    혈액투석 치매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5
진료권한 관리
  • 의사직 인사발령에 따른 진료권한 승인 처리 및 진료권한위원회 개최(7회)
  • 전년도 연간 진료분에 대한 지표를 활용해 전문의 186명 대상 진료권한 평가 수행
6
VOC 관리
  • 체계적인 고객의 소리(VOC) 관리
    • VOC 접수 및 월별/분기별 분석
    • 고충상담처리 문제유형별 내용분석 보고 : 월별/분기별 보고
    • 고충상담 접수 현황 및 처리결과 공유 : 진료과 건별, 부서 분기별
  • 의료분쟁 및 민원감소 활동
    • QI 활동 : 입원환자 보호자에게 환자 상태 설명 향상 활동
    • 「중대한 위해사건 발생 시 소통절차」 소책자 제작 및 배포
  • 민원사례분석을 통한 업무 개선 활동
    • 「반복민원예방 Tip」발행(2회)
    • 사안별 개선 활동 : 응급의료센터 음압 격리실 CCTV 촬영 안내문 게시 등 7건
  • 의료분쟁예방위원회(5회) 및 진료관련 대책회의(9회) 운영
7
환자경험관리
  • 환자만족도 관리
    • 환자만족도 모바일 설문결과 분석 및 보고(분기별), 개선활동(수시)
    • 환자경험 고객제안 QR 개발 및 적용
    환자경험 고객제안 접수건수
    접수경로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총 건수
    고객제안(건) 267 210 145 225 847
    고객만족도설문조사(건) 4,223 4,673 4,310 4,313 17,519
    총계(건) 4,490 4,883 4,455 4,538 18,366
    • 고객(환자)만족도 설문조사를 통한 고객만족도 조사 및 분석
    환자경험 고객제안 접수건수
    구분 2021년 2022년 전년도 대비 증감
    외래(점) 81.1 79.8 ▼1.3
    입원(점) 87.6 84.8 ▼2.8
    응급(점) 75.4 70.2 ▼5.2
    평균(점) 81.4 78.3 ▼3.1
  • 환자경험관리위원회 개최(4회)
    • 안건 : VOC 현황 보고, 환자만족도 결과 보고, 회진 시작 전 회진안내 알림톡 활성화 방안, 홍보 TV, 반복민원주의보 검토, 환자권리영역 홍보 진행, 입원 환자 정기적 환자상태 설명 방안 마련 등
  • 환자경험 직원 동기 부여 프로그램
    • 환자경험 달인 릴레이 : 동영상 제작 및 게시(20명)
    • 감사편지(41편) : 홈페이지 및 손편지 등을 통해 접수된 감사의 글 게시
    • 환자경험 우수 부서 및 직원 포상 : 모바일 설문조사 우수 진료과 및 부서 병원장 포상(4개 진료과, 4개 부서), 환자경험 우수 직원 병원장 포상(직군별 총 10명), 모바일 설문조사 우수 및 향상 부서 적정진료실 포상(8개 진료과, 8개 부서)
    • 환자경험 아이디어 제안 공모전 : 총 36개 제안 중 3명 병원장 포상
  • 환자경험 디자인 프로젝트 진행
    • 중점과제 : 환자경험의 혁신 「Happy innovation」
    • 구성 : 환자경험 부서리더 48명, 전문의 8명
    • 활동 : 디자인 프로젝트 핵심인력 교육, 프로젝트 활동 진행, 최종 보고회 개최 및 「입원 환자에게 영상을 통한 정확한 검사정보 전달하기」 등 3팀 병원장 포상, 4개팀 제안내용 11개에 대해 관련부서 검토 완료
  • 환자경험개선 활동
    • 「수술 과정 및 이동 동선 경험을 위한 VR」제작 완료
  • MOT 동행관찰 모니터링 및 접점부서 코칭 실시(63개 접점, 2.25.~8.8.)
    •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접점별 코칭(67회, 484명)
    • 결과 : 82.7점
  • 4차 환자경험 적정성 평가 대비 TFT 구성 및 발대식(12.20.)
    • 환자경험적정성 평가 세부 영역별 분과 구성(4개 분과, 총 35명)
  • 입원 및 외래 환자 경험 심층 설문조사
    • 입원환자 대상 대면 및 전화 인터뷰(53명)
    • 외래환자 대상 대면 설문(62명)
8
환자경험교육
  • 신규전문의 진료상담 역량강화 과정
    • 진료 영상 및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통한 개인별 맞춤 코칭(10명)
    • 종합 워크숍(2020년~2022년 이수 전문의 15명)
  • 전 직원 환자경험 향상 교육 실시
    환자경험 향상 교육 과정
    교육과정 내용 대상 횟수(인원)
    전직원 환자경험 향상 교육 민원 사례중심 찾아가는 교육 일반직 40회(209명)
    환자동행서비스 보직자 45회(62명)
    신입직원교육 환자경험 기본 응대 교육 간호직, 업무지원직 5회(273명)
    부서요청교육 워크숍 및 부서별 고객응대교육 112병동, 업무지원직, 응급의료센터 3회(98명)
    협력사 및 입점업체 교육 고객응대 기본 교육 14개 협력사, 입점업체 195명
  • 환자경험 리더교육
    • 부서리더 양성 교육(41명), HiPex 2022(6명)
  • 의료분쟁 세미나
    • 간호직 대상 : 간호관련 분쟁사례를 통해 살펴보는 분쟁 예방 전략(110명)
    • 의사직 대상 : 의료분쟁 최신 판례 동향(23명)
  • 환자경험 특강
    • 환자경험의 이해(132명), 환자경험 혁신 사례를 통한 환자 경험 전략 수립(168명)
  • 전공의, 인턴 대상 의료분쟁 예방 교육(40회, 328명)
2. 대외활동
대외활동
NO 성 명 대외활동 내용
1 유종하
  • 의료기관평가인증원 자원조사위원 및 평가위원
2 오인옥
  • 의료기관평가인증원 자원조사위원 및 평가위원
  •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겸임 교수
3 안정희
  •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겸임 교수
1. QI 활동현황
NO 영역 주제 팀명
1 간호업무개선 주요처치의 간호기록, 간호처방 업무효율 향상 활동 원클릭스마트간호
2 간호업무개선 성인집중치료실 간호사의 경력개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ICU Key Player
3 간호업무개선 응급환자 입원 시 부서 간 의사소통 개선 너는 나고 나는 너다
4 간호업무개선 수술현장에서 원칙 사수하기 안전 향상 활동 수술안전캐리팀
5 고객만족도향상 입원환자 보호자에게‘환자상태’설명 향상 활동 입원환자설명강화팀
6 고객만족도향상 스마트한 설명 강화 활동을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설명은스마트하게
7 임상질지표 외래 진료 전 정확한 환자확인 향상 활동 확인어게인
8 직원안전 효율적인 직원감염관리 직원안전지킴이
9 진료과정개선 심장내과 효율적 진료를 위한 의뢰회송강화 활동 i-SMART에게 맡겨
10 진료과정개선 수술 예정 환자 항혈전제지참약 관리 프로세스 개선 Blood stop&Go
11 진료과정개선 외래 중복검사 감소활동 현명한 선택
12 진료과정개선 대장암 Fast track 구축 대장암F.T
13 진료지원업무개선 Incision, 오큘러스를 활용한 전공의 임상술기 능력 향상 활동 메타월드
14 진료지원업무개선 업무환경 개선을 통한 생검검체의일치율 향상 활동 작은것들을위한 Bx.
15 진료지원업무개선 소아 진정 업무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업무 효율성 증대 다이나믹진정검사
16 진료지원업무개선 조제실 내 유선연락 감소를 위한 소통 활성화 활동 Call ME PLZ
17 질향상질관리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지침 준수 증진활동 폐렴예방은 내손으로
18 질향상질관리 CT,MRI영상검사 평가 기준 충족 활동 안전,신속지킴이
19 질향상질관리 PET-CT 영상검사 평가 기준 충족 향상 활동 핵의학과
20 질향상질관리 마취약물투약오류 방지를 위한 예방활동 마취약물 투약오류 방지팀
21 질향상질관리 혈소판 응집 환자의 재채혈 감소 활동 원샷원킬
22 환자교육 혈액투석 교육 방법 개선을 통한 교육만족도 및 업무효율성 증대 I-SHE
23 환자안전 PDA를 이용한 수액주입오류감소 활동 스마트함을 더하다
24 환자안전 검사 및 시술 전 확인절차 강화 활동 언정누누
25 환자안전 맞춤형 중재 강화와 낙상 CDS 확대 적용을 통한 낙상 및 손상감소 활동 최강낙상예방팀
26 환자안전 의료기기 관련 피부손상 예방활동 피부수호대
27 환자안전 정맥염 및 혈관 외 약물 유출 감소를 위한 관리 강화 활동 V.I.P care
28 환자안전 외래 지원부 낙상 제로 예방 활동 낙상제로!안전배로!
29 환자안전 정맥주사 관리 강화 활동을 통한 신생아 말초정맥주사 제거율 감소 활동 Dream NICU
1. 학회 및 세미나 참가
NO 학회명 참가자 참가기간 개최지
1 대한병원협회 환자안전전담인력 보수교육 김정남 외 2명 2022.02.01.~12.31. 온라인
2 의료기관평가인증원 연수교육

(주제 : 4주기 인증교육)
오인옥 외 10명 2022.03.31.~04.11. 온라인
3 대한환자안전질향상간호사회 봄 학술대회 오인옥 외 9명 2022.04.08. 온라인
4 대한환자안전질향상간호사회 연수교육

(주제 : 표준진료지침관리)
김현진, 이다현 2022.04.13. 온라인
5 한국의료질향상학회 봄 연수교육 유종하 외 7명 2022.04.13. 온라인
6 한국의료질향상학회 봄 연수교육 박병규 외 5명 2022.04.14. 온라인
7 대한환자안전학회 정기학술대회 박병규 외 14명 2022.05.20. 온라인
8 대한환자안전질향상간호사회 연수교육

(주제 : 환자안전전담자의 역할과 환자안전 개선 사례)
김정남 2022.06.09. 온라인
9 한국의료질향상학회 봄 학술대회 박병규 외 15명 2022.06.16. 온라인
10 기본과정 QI교육(건강보험심사평가원) 오인옥 외 3명 2022.06.01.~10.31. 온라인
11 정신건강 QI교육 과정(건강보험심사평가원) 김현진, 진현경 2022.06.01.~10.31. 온라인
12 중환자실 QI교육 과정(건강보험심사평가원) 김현진, 진현경 2022.06.01.~10.31. 온라인
13 환자경험 QI교육 과정(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백은정 외 3명 2022.06.01.~10.31. 온라인
14 환자안전 QI교육 과정(건강보험심사평가원) 김현진, 진현경 2022.06.01.~10.31. 온라인
15 암 QI교육 과정(건강보험심사평가원) 김현진 외 2명 2022.06.01.~10.31. 온라인
16 만성질환 QI교육 과정(건강보험심사평가원) 김현진, 진현경 2022.06.01.~10.31. 온라인
17 심뇌혈관 QI교육 과정(건강보험심사평가원) 김현진, 진현경 2022.06.01.~10.31. 온라인
18 대한환자안전질향상간호사회 연수교육

(주제 : 위험관리와 사례)
정아인, 연정화 2022.07.07. 온라인
19 공공의료 CP 개발 워크숍(국립중앙의료원) 정우용, 김현진 2022.07.14. 서울
20 대한환자안전질향상간호사회 연수교육

(주제 : 적신호사건과 RCA)
정아인 2022.08.11. 온라인
21 의료기관평가인증원 감염관리 인증 심화교육 연정화 2022.08.18.~09.06. 온라인
22 의료기관평가인증원 4주기 인증준비 기본교육 정아인 외 2명 2022.08.25.~09.13. 온라인
23 한국의료질향상학회 가을연수교육 오인옥 외 10명 2022.08.25.~08.26. 서울
24 환자경험 전문가 양성과정 정지윤, 염의원 2022.09.30. 서울
25 대한환자안전질향상간호사회 가을학술대회 오인옥 2022.10.05. 서울
26 대한환자안전질향상간호사회 연수교육

(주제 : 중소병원을 위한 질 향상과 방법론)
유소라 외 5명 22022.10.13. 온라인
27 HiPex2022 컨퍼런스(명지병원) 백은정 외 3명 2022.10.26.~10.28. 고양
28 4주기 급성기병원 인증준비 기본교육 백은정 외 2명 2022.10.27.~11.15. 온라인
29 중환자실 적정성평가 설명회 김현진 2022.11.28. 서울
30 간암, 유방암 적정성평가 설명회 김현진 2022.11.28. 서울
31 혈액투석 적정성평가 설명회 김현진, 김송은 2022.12.01. 서울
32 한국의료질향상학회 가을학술대회 박병규 외 11명 2022.12.08.~12.09. 제주
33 대한병원협회 환자안전전담인력 신규교육 정아인 2022.12.12.~12.14. 서울
34 류마티스관절염 예비 적정성평가 설명회 김현진 2022.12.14. 서울
1. 학회 및 세미나 발표
  • 국내학회
국내학회
NO 국내학회명 제목 발표자 발표년월 개최지
1 대한환자안전질향상간호사회 2022년 표준진료지침(CP) 운영사례 오인옥 2022.04 온라인
2 대한환자안전학회 간호조무사의 업무역량 강화를 통한 환자경험 향상 마미영 2022.05. 온라인
3 대한환자안전학회 낙상 후 신속한 검사 및 판독 시행률 향상 활동 곽완신 2022.05. 온라인
4 대한환자안전학회 약물 용량 오류 감소 활동 김경란 2022.05. 온라인
5 대한환자안전학회 전신마취 환자의 마취전․후 Sign in&Sign out 정착 활동 주애라 2022.05. 온라인
6 한국의료질향상학회 스마트한 위치추적 활용한 환자안전 개선활동 박민현 2022.12. 제주
7 한국의료질향상학회 물품 공급 및 관리시스템 개선을 통한 업무 효율화 및 만족도 향상 김유나 2022.12. 제주
8 한국의료질향상학회 수술계수 관리업무 강화를 통한 수술안전 향상활동 김지연 2022.12. 제주
9 한국의료질향상학회 외래초진환자 안내강화를 통한 진료 전 준비이행률 향상 활동 정은진 2022.12. 제주
10 한국의료질향상학회 경이로운 환자경험을 위한 human touch 김종희 2022.12. 제주
11 한국의료질향상학회 채혈실 방문 고객의 수납문제 개선을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김대현 2022.12. 제주
12 한국의료질향상학회 치매 환자의 진료지침 준수 활동 이다현 2022.12. 제주
13 한국의료질향상학회 심뇌혈관센터 활성화 시스템 구축 김정남 2022.12. 제주
14 한국의료질향상학회 갑상선암 Fast track 구축 윤선영 2022.12. 제주
15 한국의료질향상학회 COVID-19 직원 안전 감염관리 시스템 개발 및 활용 이아현 2022.12. 제주
  • 국제학회
국내학회
NO 국내학회명 제목 발표자 발표년월 개최지
1 국제의료질향상학회 효율적인 CVR 운영 유종하 2022.10. 호주
2 국제의료질향상학회 수술검체 안전관리 향상 장문영 2022.10. 호주
3 국제의료질향상학회 외국인환자 정확한 이름 표기를 통한 환자확인 강화 송정훈 2022.10. 호주
4 국제의료질향상학회 초진환자 외래 프로세스 개선 정욱 2022.10. 호주
5 국제의료질향상학회 재활의학과 외래환자의 개인 맞춤형 가정재활 프로그램 제공 강경이 2022.10. 호주
6 국제의료질향상학회 영상의학과 ‘시술 후 검체’ 안전한 이송을 위한 업무개선 김철민 2022.10. 호주
7 국제의료질향상학회 정형외과와 병동 간 의사소통 만족도 향상 활동 김영남 2022.10. 호주
8 국제의료질향상학회 폐암 Fast track 구축 정문용 2022.10. 호주
9 국제의료질향상학회 수술환자의 피부손상 예방과 중재활동을 통한 발생률 감소 김진선 2022.10. 호주
10 국제의료질향상학회 의료기관의 공사감염위험도 평가 절차개선 및 감염관리 지침 준수율 향상 활동 윤미선 2022.10. 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