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
1 | 외래 다빈도 시술 환자의 불안감소를 위한 개선활동 |
2 | 응급의료센터 내, 외부고객 만족도 향상 활동 |
3 | 간호기록 표준화 및 간소화를 통한 간호업무 효율화 |
4 | 영상이동검사 처방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업무 개선 향상 활동 |
5 | 진단검사 TAT 관리 확대 및 시스템 개발 활동 |
6 | 교육방법의 다양성을 통한 의료장비 사용 지식도 및 수행도 향상활동 |
7 |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치료를 위한 업무개선 |
8 | 배식 표준화를 통한 만족도 향상활동 |
9 | 영상의학과 '시술 후 검체' 안전한 이송을 위한 업무개선 |
10 | 심부조직손상 욕창 예방 강화 활동 |
11 | QR code 업무매뉴얼 개발 및 활용 |
12 | 적정 수혈 이행 활동 |
13 | 내과계병동 업무의 표준화를 통한 신규간호사의 업무 적응력 향상 |
14 | 정형외과와 병동 간 의사소통 만족도 향상활동 |
15 | Brain 수술환자 대상 설명강화 활동 |
16 | 가정용 인공호흡기 적용 입원환자의 안전한 인공호흡기 관리 |
17 | 반복 민원감소 활동 |
18 | 재활치료센터 내 치료용 장비 사용에 대한 감염관리 활동 |
19 | 집중치료실 업무 프로세스 개선 |
20 | 신속대응팀 활동을 통한 효율적인 고위험환자 관리와 CPR 예방 |
21 | 원외 수기처방전 전산화를 통한 안전한 투약과 업무개선 |
22 | 수술환자의 피부손상 예방과 중재 활동을 통한 발생률 감소 |
23 | 수술실 안전보장 활동 강화 |
24 | 안전한 환자맞춤 환의 개선 활동 |
25 | 업무 개선을 통한 환자안전활동 수행률 향상 |
26 | 분만 직후 고위험신생아 간호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업무 효율성 향상 활동 |
27 | 무균적 혈액배양검사 지침 준수 증진활동 |
28 | 의료기관의 공사감염위험도 평가 절차개선 및 감염관리 지침 준수율 향상활동 |
29 | 병동 내 환경관리를 위한 감염 지침 수행률 향상 활동 |
30 | 간암 Fast track 구축 |
31 | 폐암 Fast track 구축 |
32 | 중복 진단검사 최소화 활동 |
33 | 혈액투석환자의 동영상 교육 자료를 활용한 칼슘*인 충족률 향상 활동 |
34 | 중환자실 내 중심정맥영양 공급환자의 영양재개증후군 예방을 위한 개선활동 |
35 | 낙상예방 Device 활용 향상을 통한 낙상발생 감소 활동 |
번호 | 제목 |
---|---|
1 | 영상의학과 이동 검사 시 감염관리 강화활동 |
2 | 치과업무 매뉴얼 표준화를 통한 업무역량 및 만족도 향상 |
3 | 호스피스 완화의료도우미 업무 표준화 및 지식도 향상 활동 |
4 | MFICU 운영 활성화 활동 |
5 | 응급의료센터 내원 환자 및 보호자 만족도 향상 활동 |
6 | 심근경색 및 심부전 진단을 위한 응급검사 업무 개선 활동 |
7 | 효율적인 CVR(Critical Value Report) 운영 |
8 | 멸균기내 멸균물품의 올바른 적재 활동을 통한 안전한 물품 공급 |
9 | 안전하고 효율적인 경장영양 주입을 위한 업무개선 활동 |
10 | 병동 격리대상 다제내성 감염관리 |
11 | 정신 건강서비스의 질 향상 활동 |
12 | 투약 프로세스 재정비(간호안전위원회) |
13 | 시뮬레이션 기반 고위험 신생아 간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14 | 중환자실 간호사의 사직감소를 위한 소진예방 중재활동 |
15 | 환자급식 선택식제도 활성화를 통한 식사만족도 향상 |
16 | 정맥주사 약물의 혈관 외 유출 감소활동 |
17 | 집중치료간호팀의 간호사를 위한 현장 맞춤형 전문역량 개발 |
18 | 직원 감염질환 노출사고 감소 활동 |
19 | 응급의료센터 퇴실 환자의 외래 예약방법 개선 |
20 | 고위험시술 환자안전을 위한 효율적인 진료재료 관리와 만족도 향상 |
21 | 마약 불출 및 반납 프로세스 개선 |
22 | 인공슬관절 수술 환자의 운동수행 향상활동 |
23 | 긍정적인 조직문화 구축을 통한 행복한 일터 만들기 |
24 | 신속대응팀 활성화를 통한 CPR 발생 감소활동 |
25 | 재활의학과 외래 환자의 개인 맞춤형 가정 재활 프로그램 제공 |
26 | 입원환자 대상의 핵의학검사 중 BONE SCAN 및 PET-CT검사의 업무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만족도향상 |
27 | 초진환자 외래프로세스 개선 |
28 | 국제진료 환자와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개선 |
29 | 취약계층 환자 지원프로세스 구축을 통한 지역사회 자원 연계율 향상활동 |
30 | 마취 모니터링 전담 업무개선을 통한 간호사의 직무 만족도 향상 및 스트레스감소 |
31 | 전담간호사의 체계적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
32 | 가퇴원 발생 최소화 및 오전 퇴원율 제고 활동 |
33 | 의료폐기물 배출량 감소활동 |
34 | 피부절개 전 Time out을 통한 환자 안전강화 활동 |
35 | 수술검체 안전관리 향상(수술실위원회) |
36 | 연명의료 자기결정 존중비율 향상 활동 |
37 | 정확한 환자이름 표기를 통한 환자확인 강화 활동 |
번호 | 제목 |
---|---|
1 | 응급실 내원 환자 만족도 3% 상승 |
2 | 외래환자 체감 대기시간 관리 |
3 | 핵의학 이용 환자의 외부고객 만족도 향상 |
4 | 진정 기록 개선을 통한 환자 안전 강화 |
5 | 수액 주입 속도 오류 발생 감소 |
6 | 표본제작과정 개선을 통한 슬라이드 질 및 결과보고율(TAT) 향상 |
7 | Serum index를 활용한 부적합 검체 감소 질향상 활동 |
8 | 혈액배양 질향상 활동 |
9 | 입원 전 안내 강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간호부 홍보위원회) |
10 | 채혈실 방문고객의 대기시간 감소를 통한 고객 만족도 향상 |
11 | 응급의료센터 퇴실기록 충실도 향상 |
12 | 집중치료실 격리지침 준수율 증진 활동 |
13 | 의뢰환자 진료당일 Coronary CT Angiography 패스트 트렉 구축 |
14 | 전공의 교육수련프로그램 질적 강화 및 활용도 제고 |
15 | 임플란트 환자 관리체계 구축을 통한 내외부 고객만족도 향상 |
16 | 환자 교육 수가 급여 전환에 따른 교육 활성화 |
17 | 환자안전문화 향상을 위한 Safety Guardian 활동 |
18 | 의료소모품의 효율적 관리활동 |
19 | 적절한 신체보호대 사용으로 안전사고 예방활동 |
20 | 치료식 영양관리 활성화를 통한 환자 만족도 향상 |
21 | 고위험 임부 진료절차 개선을 통한 대기시간 단축 |
22 | 미숙아케어 교육방법 개선을 통한 보호자의 치료 참여 및 자신감 향상 |
23 | 방사선종양학과 진료 예약 시스템 개선을 통한 환자 만족도 향상 |
24 | 수술 계수 강화를 통한 수술 환자 안전 보장 활동 증진 |
25 | 효과적인 의료장비 관리를 통한 감염예방활동 |
26 | 수술대여기구 관리 프로세스 개선 |
27 | 재활치료센터 이용 간호간병통합병동 환자의 낙상위험감소 활동 |
28 | 마취약물 투약과오 방지를 위한 개선활동 |
29 | 정맥주사부위 phlebitis 예방 활동 |
30 | 의료장비의 효율적 관리를 통한 근무환경 개선(간호부 환경위원회) |
31 | 전문진료를 위한 의원중점질환자 되의뢰율 향상 |
32 | 감염예방을 위한 병동 삽입기구 관리활동 |
33 | 내외과계집중치료실의 카테터 관련 요로감염 및 혈류감염 발생률 감소 |
34 |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간호업무 효율화 증대 |
35 | 효율적 내시경 관리 지침 표준화 |
36 | 낙상 저위험군에서의 낙상발생 감소활동(간호부안전위원회) |
37 | 환자안전관리시스템을 이용한 환자안전보장활동(간호부업무위원회) |
38 | 고객과의 갈등상황 대응 훈련을 통한 감정노동 스트레스 감소 활동 |
39 | 전산시스템 내 약물 투여시간 코드 재정비 |
번호 | 제목 |
---|---|
1 | 종합검진 종양표지자 검사 참고치 재설정 활동 |
2 | 간호정보시스템 보완을 통한 업무효율성 증진(간호부업무위원회) |
3 | 치료부위 표시 방법 개선을 통한 직원 감염관리 활동 |
4 | 방사선 종사자의 안전을 위한 피폭 선량관리 |
5 | 치과 간호업무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성 증대 |
6 | 호스피스 환자 가족 프로그램 참여도 향상활동 |
7 | 모유수유 실천율 향상 활동 |
8 | 소아병동 입원환아의 입원생활 적응 증진활동 |
9 | 신생아집중치료실 신규간호사의 임상실무 역량강화 |
10 | 업무 환경문화 개선을 통한 검사실 안전 향상 |
11 | 직원이 건강하고 안심할수 있는 지하2층 만들기 |
12 | 사내 인트라넷 활성화를 통한 의사소통 향상 |
13 | 린넨 사용자 만족도 향상 활동 |
14 | 의료기기사용 안전강화 활동 |
15 | 맞춤형 욕창 감소활동(간호부안전위원회) |
16 | 수술실 피부상태 확인 개선 방안 활동 |
17 | 재활병동 특성을 고려한 간호업무 개선활동 |
18 | 폭력 예방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및 폭력발생 10%감소활동 |
19 | 혈액 반납율 감소 |
20 | 사망진단서의 사망원인 기재 정확도 향상 활동(진단코딩위원회) |
21 | 의사소통향상활동을 통한 건강한 조직 문화 만들기 |
22 | 외래환자 처방 안내문 개선을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
23 | 수술환자 안전강화 활동을 통한 근접오류 감소활동(수술실위원회) |
24 |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통한 건강한 직장적응 |
25 | 직원 주사침 자상사고 감소 |
26 | 원내 멸균기 관리의 표준화 |
27 | 전공의가 건강한 병원 만들기-전공의 수련규칙 이행을 통한 전공의가 건강한 병원 만들기 |
28 | 내과 입원환자 업무 효율성 증대 및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 |
29 | 응급실 감염관리를 위한 인식개선 및 절약활동 |
30 | 심장내과 시술환자를 위한 맞춤형 CARE MAP 개발을 통한 간호서비스 향상 |
31 | 응급실 체류시간 단축 활동 |
32 | 조리장 내 안전관리 개선활동 |
33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환자경험향상을 위한 의사소통활성화 |
34 | 입원환자 영상검사 대기시간 감소를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
번호 | 제목 |
---|---|
1 | POCT ABGA 검사 처방률 개선활동 |
2 | Hemoglobin critical value 상한치 유선보고 활성화 |
3 | 입퇴원 대기시간 단축 |
4 | 방사선치료과정 설명를 통한 불안감해소 및 만족도향상 |
5 | 포괄간호 서비스 병동에서 척추수술환자 운동관리 |
6 | 고정성보철물 제작 환자의 불편감 감소 활동 |
7 | 환자안전보고 활성화가 환자안전에 미치는 영향 |
8 | 건강검진에 따른 내시경 검사 사후관리 프로세스 구축 |
9 | 질 향상(QI) 활동 현황 분석을 통한 질 관리 체계 강화 |
10 | 체계적인 의료가스 관리를 통한 안전한 환경 조성 |
11 | 환자의 식별을 위한 표식의 결정 |
12 | 방사선검사 환자의 선량 관리시스템 활성화 |
13 | 신속하고 안전한 신생아집중치료실 전원 시스템 구축 |
14 | 편안하고 쾌적한 병원환경 만들기(간호부홍보위원회) |
15 | 전신마취수술 환자확인 향상활동(정확한 TIME OUT 향상활동) |
16 | MRI 검사 3일 이내 판독률 향상 |
17 | 입원 환자 낙상관리 표준화 활동(간호안전위원회) |
18 | 효율적인 기구관리 시스템 구축 |
19 | 비뇨기과 표준진료지침 재정비를 통한 임상적용 강화 |
20 | 진료 관련 비급여 설명 강화 |
21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대상 환자 안전보장 활동 |
22 | CRRT(FMC) 알람 중재 지침 개발 |
23 | 병동의 요로감염 예방을 위한 시스템 정비(간호안전위원회) |
24 | 병리검사과정 점검을 통한 안전한 검사 시스템 구축 |
25 | 안전한 병원환경을 위한 병문안 문화 정착 |
26 | 효율적인 간호기록을 위한 업무개선(간호정보소위원회) |
27 | 인공호흡기(Home ventilator) 적용환자의 안전한 입원생활 |
28 | 신규간호사 교육자료 개발 |
29 | 재활치료센터 안전사고 발생 시 기본 대응체계 향상 활동 |
30 | 의료취약계층 환자에 대한 지원체계 개선방안 |
31 | 지참약 관리 프로세스 개선 |
32 | 응급기록 개선을 통한 환자 안전활동 |
33 | 이비인후과 표준진료지침 재정비를 통한 임상적용강화 |
34 | 적정 근무시간 준수를 위한 개선활동 |
35 | 외과 표준진료지침 재정비를 통한 임상적용 강화 |
36 | 병동내 간호업무 표준화 |
37 | 암 환자의 항암 개인교육 실시 활성화 |
38 | 안전하고 정확한 수술환자 임플란트 준비업무 프로세스 개발 |
39 | 고위험의료기기의 효율적인 교육방법 개발 |
40 | 섬망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수행률 향상 |
41 | 패혈증 환자에서 제한항균제 처방시스템 개선 |
42 | 산부인과 CP 적용 및 표준화를 통한 활성화 방안 |
43 | 신경과 표준진료지침 재정비를 통한 임상적용 강화 |
44 | Sepsis CDI(임상기록 질 향상 활동) |
45 | 신경외과 표준진료지침 재정비를 통한 임상적용 강화 |
46 | 영양불량 환자의 환자 중증도 적용을 위한 개선활동 |
47 | 의뢰환자 당일 진료 활성화 활동 |